올해 1분기, 경기불안 속 '제약·의료정밀' 긍정적
상의 BSI 조사…내수침체 장기화 · 미-중 무역전쟁 등 전체 경기불안 여전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1-20 12:00   수정 2020.01.20 13:15
새해 1분기 제조업 체감경기의 불안이 여전한 가운데, 제약과 의료정밀 분야만이 긍정적인 경기가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 이하 상의)는 최근 전국 2,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1분기 제조업체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공개했다.

상의 조사 결과, 작년 4분기보다 3포인트 상승한 75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2분기 연속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에 성공했지만, 기준치(100)를 넘어서진 못했다.

새해 1분기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해석이다. 

대한상의 기업경기전망지수는 100이상이면 ‘이번 분기의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이하이면 그 반대이다. 

대한상의는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 소식도 있었지만,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히 부담스럽고, 작년 수출이 10년 만에 두 자리 수 감소하는 등 민간부문의 성장모멘텀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2020년 한 해 전체의 경제흐름에 대한 전망도 밝지 않았다. '2019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예측이 절반(49.3%)에 달한 가운데, '악화될 것'(40.7%)이란 답변이 '호전될 것'(10%)이란 답변보다 4배 더 많았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새해 투자도 움츠러들 전망이다. 새해 사업운용 계획에 대해 '보수적'이라고 답한 기업이 72.2%로 '공격적'(27.8%)이라는 답변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새해 기업경영을 위협할 대외리스크로는 '美·中 무역분쟁 등 보호무역주의'(57.1%), '환율·금리 변동성(43.1%)', '중국의 경제 성장세 둔화(33%)' 등을, 대내리스크는 '내수침체 장기화(74%)', '최저임금·주52시간 등 고용환경 변화(55.4%)', '투자심리 위축(26.5%)' 등을 차례로 꼽았다.

업종별 체감경기는 '의료정밀(103)', '제약(100)'만이 기준치를 상회해 상대적으로 밝은 전망을 보였다.

그러나 '철강(68)', '자동차·부품(71)', '기계(75)', '정유·석화(75)', '조선·부품(91)'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누적되면서 기업의 불안심리와 보수적 경영이 확산되는 등 민간의 경제활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라며 "산업 곳곳에 자리한 기득권 장벽과 구시대적 법·제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등의 근본 대책을 통해 시장 역동성 회복에 물꼬를 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