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한인제약인협회(Korean American Society in Biotech and Pharmaceuticals, 이하 KASBP)가 주최하고, 한미약품 유한양행 녹십자 SK Biophamaceuticals가 공동 후원하는 '2019 KASBP 봄 심포지엄'이 오는 5월 31일과 6월 1일 미국 뉴저지 '쉐라톤 에디슨 호텔'(Sheraton Edison Hotel)에서 열린다.
예년과 마찬가지로 한미 양국 제약산업 및 생명공학 분야 여러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신약개발-연구벤치에서 상업화까지(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 From Bench to Commercialization)’를 주제로 진행된다. 심포지엄 관련 스케줄 및 세부사항은 KASBP 웹사이트(www.kasbp.org)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단계별로 5월 26일까지 온라인을 통한 등록이 진행중이다.
이번 봄 심포지엄에서도 많은 알찬 프로그램들이 준비돼 있다.
KASBP 창립 멤버이자 현재 PTC Therapeutics를 이끌고 있는 문영춘 박사 기조 연설을 포함해 총 일곱 명의 바이오/제약 전문가들과 후원사가 본인 연구 결과와 경험 및 비전을 세미나 발표 형식으로 심포지엄 참가자들과 나눌 예정이다. (주요 발표자들과 발표 주제 하단)
학술 발표와 더불어 KASBP는 다음 세대 제약분야를 이끌 연구자 및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도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생명과학 분야 박사과정 대학원생 및 박사후 연구과정에 있는 우수 연구자들을 선발해 장학금을 수여해 오고 있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도 수상자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함과 동시에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고 포스터 발표를 통해 수상자와 참여자들 간 교류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전공 및 연구 주제별 모임 자리를 마련해 본인 연구 분야 및 관심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참여자들이 전문지식을 나누고, 최신 정보를 교류한다.
KASBP는 신약개발과 생명과학에 대한 학술정보 교류와 회원 간 유대강화를 목표로2001년 조직된 비영리단체로 미국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출범해 필라델피아, 보스턴, 커네티컷, 워싱턴 DC, 샌프란시스코, 일리노이, 뉴저지에 각각 지부를 두고 활동하고 있다.
KASBP는 매년 봄과 가을 심포지엄을 개최해 신약개발 분야 새로운 이슈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관련 전문가들을 초청해 그들의 발표를 듣고 참가자들과 토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배우는 데 힘쓰고 있다.
또 미국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잠재력 있는 젊은 한국인 및 재미 한인 2세 연구자들 발굴에도 힘을 기울여, 미래 생명과학과 제약산업을 이끌어 갈 차세대 전문가를 꾸준히 양성하고 후원하고 있다.
KASBP 측은 " 한국의 바이오텍, 제약회사 및 연구소, 그리고 정부 및 민간 기관과 연대를 통해 바이오/제약산업 전반에 걸친 정보와 지식을 나눔으로써, 한국 내 신약 연구개발, 나아가 한국제약산업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1. RNA targeting drug discovery: Young-Choon Moon (PTC Therapeutics) (Keynote speaker)
2. A mitochondrial perspective of COPD pathogenesis – Focusing on mitochondrial innate immunity: Min-Jong Kang (Yale School of Medicine)
3. Antisense oligonucleotide therapeutics for difficult-to-inhibit drug targets: Youngsoo Kim (Ionis Pharmaceuticals)
4. Critical ligand-binding reagents for robust bioanalytical assays – Characterization and lifecycle management: Hanjo Lim (Genentech)
5. A new frontier – Science of endocannabinoid and cannabis research in drug development: Dennis Kim (Emerald Health Services)
6. Current progress on protein degradation therapeutics: Hyunsun Jo (Pin Therapeutics)
7. SK Biopharmaceuticals – From R&D to Commercialization: Jeong Woo Cho (SK Biopharmaceuticals)
01 | 서울에 모인 한·중 제약바이오 리더들…"전략... |
02 | "유전체데이터 혁신 앞장" NDS, 'AWS 퍼블릭... |
03 | 디티앤씨알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 |
04 | 해외 의약품 제조소, 미국 FDA ‘기습 불시 ... |
05 | 아리바이오, 저주파 음향진동 전자약 기술 S... |
06 | 케어젠, 튀르키예 ‘아타바이’ 와 펩타이드 ... |
07 | 국내 연구진,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 |
08 | UNICEF “전세계 비만아동 최초 저체중아 추월” |
09 | 헐리우드와 빅파마 만남…줄리안 무어-릴리 ... |
10 | MoCRA 제대로 모르면 낭패, 선케어 미국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