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제약,췌장암치료 광역학기술,‘출연연 10대 우수연구성과’ 선정
‘포토론 형광복강경 및 광역학 치료광원 기술 개발’ 사업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5-02 10:25   수정 2019.05.02 10:2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전기전문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원장 최규하)이 개발한 ‘췌장암 표적치료용 형광복강경 및 광역학 기술(과제명: 포토론 형광복강경 및 광역학 치료광원 기술 개발)’이 ‘2018년 출연(연) 10대 우수 연구성과’에 선정됐다.

이번 성과는 동성제약(대표이사 이양구)이 한국전기연구원으로부터 이전받은 기술의 기업 맞춤형 기술사업화를 위해 참여한 ‘2018년도 한국전기연구원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에서 도출됐다. 관련 기술은 광에 반응하는 2세대 광민감제 ‘포토론’과 고출력 LED 광원 및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해 빛으로 암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표적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암 치료법을 골자로 하고 있다.

동성제약은 지난 2018년 3월, 한국전기연구원으로부터 ‘암(종양) 진단 및 치료용 형광 복강경 복합광원장치 기술’을이전 받아‘암 진단용 의료기기 광원 기술’을 확보했으며같은 해 11월 이번 ‘출연(연) 10대 우수 연구성과’로 선정된 ‘형광 복강경, 광역학 진단(PDD)시스템 및 광역학 치료(PDT) 레이저 기술’을 이전받았다.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고출력 LED 광원 및 반도체 레이저 활용 기술은 대한광통신이 상용화에 성공해 지난 2017년 7월 국내 품목허가를 취득한, 세계 최초 종양조직 삽입형 광섬유 프로브(Probe)가 사용된다. 동성제약은 최근 의료기기 해외사업화를 위해 한국전기연구원과 핵심특허 해외실시에 대한 합의도 마쳤다.

동성제약은 이로써 광민감제 치료에 최적화된 의료기기(췌장암 치료용 형광복강경 및 광역학 기술)와진단 시스템 전체를 확보하는 한편,포토론에 관한 독점판매권(19개국)을 함께 보유하며 모든 복강내 고형암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향후 동성제약은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형광복강경시스템을 이용해, 내시경 적용이 어려웠던 췌장암은 물론, ‘복강경 기반형광 암 진단 및 광역학 치료 기술’의안전성및 유효성 확인을 위한 추가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복강경을 이용한 췌장암 및 흉강경을 이용한 폐암과 유방암 등에 대한 임상을 진행하기 위해 국내 3개 대형 종합병원과 협의 중이다.

동성제약 관계자는 “ 내시경을 이용한 기존 치료 방식에 많은 의사들이 시술 가능한 복강경을 접목한다면, 광역학치료 대중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췌장암 뿐 아니라 폐암 및 유방암 등 고형암 전체에 대한 치료가 가능할 수 있도록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