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코텍 (대표 김정근)은 3월 31일부터 4월 3일까지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리는 2019 미국암학회 연례 학술회의에서 난치성 고형암 치료 신약후보물질 (SKI-G-801)에 대한 비임상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스코텍이 개발중인 SKI-G-801 신약후보 물질은 단백질 인산화 효소 일종인 FLT3와 AXL을 이중으로 억제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FLT3를 타깃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임상 1상 시험을 미국 내 5개 병원에서 진행 중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AXL 타깃에 대한 것으로 난치성 고형암에 대한 우수한 약리 활성을 확인했고, 다양한 동물모델 시험을 통해항암 및 전이 억제 활성을 입증했다. 또 이 개발물질은 종양 조직에서 면역세포 회피를 유도하는 AXL 기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종양 미세환경에서 cytotoxic T 세포 침윤 및 memory T 세포 증가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항암 효능은 면역을 제거한 동물모델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면역이 있는 동물모델에서 항종양 면역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재확인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오스코텍은 이 개발물질 적응증 확대를 위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조병철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전임상 시험 완료 후 올해 하반기 비소세포폐암과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1/2상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중호 연구소장은 “ 이 개발물질은 기존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가능성과 더불어 난치성 고형암으로 적응증 확대가 확인된 만큼, 다국적 제약회사 관심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