펩트론,cGMP 수준 오송공장 승인-파킨슨병치료제 등 임상 본격화
약효지속형 펩타이드 의약품 100만 바이알 규모 생산시설 확보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2-14 10:56   수정 2019.02.14 10:57

펩트론(대표 최호일)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펩타이드 의약품 생산시설인 오송바이오파크에 대해 임상GMP 허가를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오송바이오파크는 펩트론이 시설비 200억원을 투자한  cGMP 수준 스마트 공장(건축 연면적 4,700㎡ 규모)으로 연간 100만 바이알의 주사제를 생산할 수 있다.

오송신공장은 자체 보유한 플랫폼기술 'SmartDepot'를 적용해 다양한 펩타이드 의약품 지속기간을 1주에서 1개월까지 유지시킬 수 있는 최신 SR 약효지속성 의약품 전용 생산시설로, 세계적 수준 무균 주사제 제조공정이 확립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펩트론은 오송바이오파크를 자체 신약파이프라인 임상제품 생산과 상업화 제품 생산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펩트론에 따르면 개발 중인  약효지속성 파킨슨병 치료제는 인크레틴호르몬 일종인 GLP-1 수용체 활성제(agonist)로 CNS질환에서 약리활성이 보고되면서 최초의 근본적인 파킨슨병 치료제가 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펩타이드 의약품이다. 

펩트론은 이 파이프라인 독점실시권을 2014년 미국국립보건원으로부터 획득한 후 약효지속성으로 확대 개발해 뇌혈관장벽(BBB) 투과 효능을 향상시키고, 이에 대한 추가 특허 출원을 통해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 있다. 펩트론은 오송 신공장에서 제조된 품목으로 국내에서 파킨슨병 임상 2상과 영국에서 연구자 임상을 실시할 예정이며, 미국에서도 파킨슨병 관련 희귀질환인 LID(Levodopa Induces Dyskinesia) 치료제 허가를 위해 임상시험과 비임상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오송신공장 가동으로 약효지속 플랫폼 기술인 SmartDepot를 다국적 제약사들이 보유한 신약 파이프라인에 적용해 약효지속형 신약으로 개발하는 기술 제휴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최호일 대표는 “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기업은 그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GMP 생산시설의 확보가 도약의 열쇠가 될 것"이라며  “  오송 GMP 공장본격 가동으로 다양한 펩타이드 의약품에 당사 SR 롱액팅 플랫폼 기술을 접목하는 기술 제휴와 신약 임상이 크게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