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노스메드,희귀질환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개발 착수
아산병원 이종식 박사 책임자-테바연구소 출신 김효승 박사 영입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2-08 08:34   수정 2019.02.08 08:50

(주)카이노스메드가 희귀질환인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카이노스메드는 국내환자 2천여명. 미국 1만 5천여명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30여만명에 이르는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MSA) 치료제 개발을 위한 본격 연구에 착수했다고 8일 밝혔다.

다계통 위축증은 신체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뻣뻣해지는 파킨슨병 증상에 쇠조 기능 부조로 인한 증상, 그리고 배뇨장애 및 기립성 저혈압 등 자율신경게 이상으로 인한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특히 뇌의 중뇌와 기저핵, 그리고 뇌교와 소뇌의 신경계 및 아교세포(Glial cell)에서 신경전달을 돕는 단백질인 알파시뉴클레인(Alpha-synuclein) 축적 및 응집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이노스메드는 이번 다계통 위축증 연구개발을 위해 서울 아산병원 신경과 이종식 교수를 MSA 프로그램 책임자로 선임했다.

이와 함께 미국 코넬 의과대학에서 신경과학 박사를 받고 삼성바이오에피스와 글로벌 제약사인 '테바'연구소와 '데노보 바이오파마바이오'출신 김효승 박사를 영입했다.  

카이노스메드는 파킨슨병 치료제 KM-819의 임상 1상을 이미 완료한 상태로, 이번 적응증 확대에 따른 다계통 위축증 전임상 연구를 통한 임상 2상 진입을 목표로 준비중이다.  

카이노스메드 이기섭대표는 “ 이번 연구 개발과정에서 파킨슨병 치료제(KM-819) 적응증 확대 가능성을 확인하고 특히 인체 뇌조직 검사 및 동물모델에서 MSA 치료제 효능을 확인하는 연구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종식 교수도 “ MSA환자에게는 현재 치료제가 없어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카이노스메드의 MSA 치료제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