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바이오클러스터들이 바이오산업의 인프라 시설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만큼 향후에는 클러스터의 내실화와 경쟁력을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서비스개선팀 김지은 책임연구원은 최근 2019년 1월 바이오헬스 리포트에 발표한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통해 국내 주요 클러스터는 조성 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전반적인 제도 개선사항으로 바이오분야의 규제를 특정지역에 한시적으로 완화하는 방안, 인허가 절차 및 임상시험승인 등과 관련된 행정절차의 간소화 혹은 권한을 위임하는 방안, 바이오 연구개발 분야의 투자형 자금(Funding) 조성 확대,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지원시 지역적인 접근보다 사업단계별 구분 지원 등을 살펴볼 수 있다.
개별 클러스터의 제도개선 사항으로는, 정부주도형의 경우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법적 근거(육성법 가칭) 마련, 지자체형인 송도의 경우 기업 유치 규제 완화(국내 중소형 기업 유치 제약) 등을 검토할 수 있다는 것.
김지은 연구원은 “향후 클러스터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시 전반적인 사항과 개별적인 사항에 대한 통합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클러스터의 내실화를 꾀하고, 클러스터 내의 구성원들이 자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환경, 즉 선순환적인 생태계를 조성해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연계와 협력을 통해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지원 방안도 제시됐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국내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는 R&D, 시제품개발, 전임상시험, 임상시험, 인허가/평가, 생산 및 판매 등 가치사슬단계별로 강점인 부분과 보완이 필요한 부분들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신경제연구원, 2107.5,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효율화방안 연구). 이러한 차이는 클러스터간의 연계와 협력을 통해 서로의 강점을 공유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전략(win-win)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
예를 들어 원주의 우수한 의료기기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시스템, 오송과 대구의 우수한 시설과 장비, 대덕의 연구자 중심 R&D환경, 송도의 글로벌 임상시험 기업 등의 강점을 활용하고, 임상시험 및 인허가와 관련된 지원체계의 미흡성, 사업화를 위한 지원 등의 약점은 기존 클러스터와의 협력(기존 임상시험기업(CRO) 및 임상연구중심병원과의 연계, 창업지원 중심의 서울 홍릉 클러스터와 협력)으로 보완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클러스터 간의 연계 및 협력 방안은 세부주제별로 접근해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원천기술(기술가치) 고도화를 위한 협력 △창업보육, 중소기업 혁신창업을 위한 협력(우수기업 선정 기준, 투자유치 확대 방법 등 공유) △안정적인 보육환경을 위한 생태계 조성 △중소기업 유치 및 육성을 위한 펀드 조성 등을 검토할 수 있다는 것.
한편 국내 바이오클러스터는 1997년부터 민간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조성되기 시작했고, 2009년부터 정부 주도의 클러스터, 즉 의료 관련 산업체, 학교, 연구기관 등이 집적화되면서 지역별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정부 주도형은 대구 경북과 충북 오송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자체 주도형은 서울 홍릉 바이오허브, 인천 송도 바이오프론트, 민간 주도형은 강원 원주 의료기기테크노벨리 등이 있다.
현재 국내 바이오클러스터는 지역별로 16개 이상이 조성돼 있는데, 국내 클러스터의 성공사례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별 접근으로 인한 분산 대신 연계와 협력을 통한 시너지를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