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도매업체 우후죽순 증가후 감소세로 전환?
2017년 전국 도매업체 3,562곳, 전년대비 226곳 감소…구조조정 신호탄 분석도
김용주 기자 yj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1-21 12:30   수정 2019.01.21 13:27
의약품 창고면적 완화 등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으로 우후죽순식으로 증가하던 의약품 도매업체 수가 감속세로 돌아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발간한 '2018 식품의약품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말 전국 의약품 도매업체수는 3,661개소로 2016년 3,788곳 대비 226곳 감소했다..

의약품 도매업체는 2000년 이후부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왔다.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의약품 도매업체가 전년도보다 줄어든 해는 4차례에 불과했다.

의약품 도매업체수는 2008년까지 1천개 수준이었으나 2009년부터 2천개를 넘었고, 2016년에는 3천개를 돌파했다.

의약품 도매업체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의약품 도매업체 창고면적 완화, 위탁도매업체의 경우 관리약사를 고용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규제 완화로 인한 것이다.

의약품도매업소 창고 면적 기준은 2000년 규제 완화 차원에서 전면 폐지됐다가 2011년 264㎡로 제한 규정이 생겼다. 이후 2015년 초 창고 면적 기준이 264㎡에서 165㎡로 완화됐다.

또 그동안은 모든 도매업체의 경우 관리약사를 고용하는 것이 의무화됐었으나, 2015년 약사법 개정을 통해 위탁도매의 경우 관리약사를 고용하지 않아도 도매업체 운영이 가능하도록 법이 완화됐다.

의약품 유통업계는 신설 도매업체들의 제약사로부터 저렴한 가격으로 약을 공급받아 병의원을 대상으로 의약품의 처방을 유도하는 품목 도매와 CSO(Contracts Sales Organization, 판매대행업체)로 파악하고 있다.

지난해 도매업체가 줄어든 것이 일시적인지, 아니면 도매업체들간의 과열경쟁으로 인한 구조조정의 신호탄이지 향후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