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서 ‘비대면진료’ 프레임화…초‧재진 논란 멈춰야”
복지부 차전경 보건의료정책과장 “이제 겨우 걸음마 단계…편의성‧안전성 고민해야” 당부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7-28 06:00   수정 2023.07.28 06:01
차전경 보건의료정책과장이 25일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의 진행상황 등을 설명하고 있다. ⓒ전문기자협의회

정부가 현재 시범사업을 시행 중인 비대면진료에 대해 국민건강과 안전성, 편의성을 중심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초진이냐 재진이냐를 두고 정책을 프레임화해 안정적인 제도 안착에 방해가 된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 차전경 보건의료정책과장은 26일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에서 열린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에서 “비대면진료는 국민건강‧생명과 관련이 깊고 환자 안전을 기준으로 고민해야 하는 정책”이라며 “자꾸 초‧재진 논란이 이슈화가 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밝혔다. 비대면진료를 시행하는 해외 어디에서도 우리나라처럼 초진과 재진을 두고 논란이 되는 곳은 없다는 것.

차 과장은 “그 나라의 보건의료 체계에 맞춰 안전성을 제일 우선시해 설계하고 그에 따라 시행하는 것이 맞다"면서 "우리나라는 ‘초진’이 선, ‘재진’은 악, ‘초진’은 혁신, ‘재진’은 반혁신 같은 프레임을 만들어 소모적인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대면진료는 복지부가 1988년 강원도 횡성군 등 일부 지역에서 시작한 원격의료 시범사업이 시초다. 사실상 그동안 30년 넘게 시범사업을 이어가며 제도 안착을 위해 애써온 셈.  

차 과장은 “30여년에 걸쳐 이어온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은 법제화를 눈앞에 두고 있고, 시범사업이 법제화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밖에 없는 시기에 이런 소모적인 논쟁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자문단을 통해 비대면진료가 우리나라 보건의료 환경에 맞게 어떻게 안착할 수 있을지를 논의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지난 21일 열린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자문단 첫 회의에선 환자단체, 소비자단체, 6개 의‧약단체, 앱 업계, 전문가가 참여해 △시범사업 평가계획 △표준진료 지침 마련 △처방제한 의약품 확대 필요성 등을 논의했다. 복지부는 향후 △청구자료 분석 △의료기관‧환자 대상 만족도 조사 △자문단 논의 등을 통해 시범사업을 개선하고 수가 적정성 평가도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이날 회의에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표준진료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도 이뤄졌다. 미국의사협회 비대면진료 권고안 등과 같이 향후 △비대면진료에 적합‧부적합한 사례 △진료 개시 및 진행방식 △처방 약물의 위험도 분류 등을 포함한 비대면진료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차 과장은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을 보면 비대면진료는 대면진료의 대체가 아니라 대면진료의 보조적 수단”이라며 “미국의사협회 권고안에도 일반적인 이용사례는 기존환자의 진료나 약물관리와 만성질환, 고혈압‧당뇨병 등이고, 그 다음이 경미한 외상에 대한 심사가 있다"고 전했다. 부적절한 사례는 초진환자나 검사가 필요한 경우 또는 환자에게 비대면진료 임상 프로토콜 범위를 넘어서는 증상이 있는 경우 등으로 관련 지침이 마련돼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우리나라 비대면진료 역시 미국의 경우와 유사할 것으로 판단해 미국의사협회 권고안 내용을 참고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차 과장은 국제적 기준을 잘 모르는 이들이  ‘초진은 혁신을 위한 것이고 재진은 기득권을 보호한다’는 식의 양비론적 프레임을 만드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좀더 차분하게 환자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범위 안에서 편의성을 높이는 방법을 계속 찾아나가겠다”며 이것이 자문단 역할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