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R&D 투자 저해요인별 관련 여부(출처: 산업연구원).
어려운 내부 자금 조달이 보건의료 서비스의 연구개발(R&D) 투자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정부 R&D 지원이 강조되는 이유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서비스기업의 R&D 실태 및 정책과제’ 연구 보고서를 통해 보건의료서비스의 R&D 투자에 관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관심이 높은 4대 유망서비스인 관광, 보건의료, 콘텐츠, 물류 업종의 R&D 수행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 서비스기업의 R&D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는 총 529개 서비스 R&D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6주동안 진행됐으며, 이 중 보건의료 분야는 5.9%인 31개 기업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서비스 R&D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는 보건의료 분야의 51.6%가 인지하고 있으며, 인지 여부 및 경로는 ▲인터넷 검색 87.5% ▲주변사람 12.5%로 확인됐다.
‘가이드라인 업종별 R&D 사례’의 서비스 R&D 이해도‧판별력 제고효과는 3.16점으로, 전체 평균인 3.19점보다 다소 낮았다.
서비스 R&D 수행인력은 4.61명으로, 연구인력 집중도는 36.3%로 나타났다. 해당 인력의 학력별 구성비는 ▲박사 12.4% ▲석사 19.0% ▲학사 65.0% ▲기타 3.6%로, 타 분야대비 박사급 연구인력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별 구성비는 ▲이공학 61.9% ▲인문‧사회학 34.8% ▲기타 3.2%로 집계됐다.
서비스 연구개발비의 경우 보건의료 전체 연구개발비는 2억9,730만원으로, 종사자 1인당 연구개발비 2,050만원, 연구인력 1인당 연구개발비 6,300만원으로 확인됐다. 내부 R&D의 전체 대비 비중은 ▲자체 88.2% ▲수탁 10.5%였고, 외부 R&D의 경우는 ▲공동 0.9% ▲위탁 0.4%였다.
보건의료의 내부 서비스 R&D 단계별 구성비는 ▲기초연구 21.0% ▲응용연구 31.3% ▲개발연구 47.7%, 외부 R&D 단계별 구성비는 ▲기초연구 27.5% ▲응용연구 50.0% ▲개발연구 22.5%로 나타났다.
특히 보건의료 분야는 내부 R&D 유형 중 ‘제품-서비스 융합’에 타 분야 서비스보다 좀 더 집중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접근 방법별로는 ‘기술개발’에 가장 많은 연구개발이 집중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의료 지식재산권과 관련해서는 특허출원 건수와 출원 경험기업 비중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재산권 성과 창출 여부는 ▲특허출원 22.6% ▲상표권 등록 6.5% ▲디자인권 출원 9.7% ▲실용신안권 출원 6.5%로, 특허출원 건수는 3.29개였다.
또한 ‘R&D 성과 우수성 판단기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보건의료 기업은 ▲시장성(사업화 가능성) 29% ▲기술성(혁신성) 51.6% ▲경제성(경제적 파급효과) 12.9% ▲공공성(사회적 파급효과) 6.5%로, 시장성보다 기술성을 더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여긴다고 응답했다.
보건의료 기업 74.2%는 R&D 투자 저해요인으로 ‘내부 자금 조달 어려움’을 꼽았고, 이어 ▲우수 R&D 인력 부족 67.7% ▲높은 서비스 R&D 수행 비용 64.5% ▲외부 자금 조달 어려움 61.3% 순으로 R&D 투자를 저해한다고 응답했다.
정부지원 경험 중에서는 ‘출연지원’에 대한 경험이 타 분야보다 높았으며, ‘조세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동희 연구위원은 “국내 서비스업 R&D 지출규모와 비중은 주요 비교국 중 최하위 수준이며, 우리 정부에서 유망서비스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물류, 의료‧복지 분야의 R&D 투자 부족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며 “민간 부문의 자발적인 서비스 R&D 투자 부진이 더욱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R&D 투자 확대 기조 하에서 정부 재원을 유망서비스업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고, 서비스 기업의 자발적인 R&D 투자를 유도하는 제도적 인센티브 강화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서비스업 R&D 투자의 가장 큰 저해요인은 자금과 인력의 부족”이라며 “국내 보건의료, 콘텐츠, 관광, 물류 등 주요 서비스 분야가 R&D 투자 여력에 한계가 있는 영세한 소기업 중심이라는 데 근본적인 이유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의 R&D 지원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