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암제 연구비 턱없이 부족…정부 집중 관리 필요”
박중원 암센터 항암신약신치료개발사업단장, 항암 신치료기술 개발 정부 지원 강조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12-21 06:00   수정 2021.12.21 06:25

항암제를 개발하는 국내 연구비가 미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제기됐다. 미국의 연구비가 약 8조원에 이르는 반면 우리는 360억원 수준에 불과하며, 국내 GDP 규모를 감안해도 16~17배는 많아야 한다는 것이다.

박중원 국립암센터 항암신약신치료개발사업단장은 지난 16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개최한 ‘항암주권 확립 및 국내 항암 신약개발 촉진을 위한 국회 공청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우리는 예산도 여러 부처에 분산돼 있어 총괄 관리가 어려운 만큼, 집중적인 정부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중원 단장은 “올해 우리 정부 R&D 예산은 27조4,018억원이지만, 이 중 암연구비는 360억원에 불과하다”며 “국내 GDP 규모가 미국의 7.6%임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암연구비는 6,000억원 규모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예산 총괄 역시 미국은 국립암연구소(NCI)가 하지만, 우리는 여러 부처에 분산돼 있어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박 단장에 따르면 미국은 2022년 NCI 예산계획을 밝히면서 '통합적 암 관리'가 미래에 대한 투자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했다. 미국은 그동안 암연구와 치료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인 관리를 시행한 결과, NCI의 연구 및 신약개발로 인한 암생존자 수는 1992년 700만명에서 2016년 1,500만명으로 증가했고, 2040년까지는 2,600만명으로 늘릴 전망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통합 관리돼야 할 암의 기초-중계-임상연구가 부처별로 산만하게 전개돼 실질적인 효과를 못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 단장은 “산발적인 암 연구로 인해 기술이전만을 목표로 해서 벌어지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며 “임상시험을 통한 제조 판매로 목표를 수정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암센터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우리나라 암 발생자 수는 총 23만2,255명으로, 암 조기발견, 치료법 향상, 인구 고령화 등으로 암 유병자(환자 및 생존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암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 치료비 부담이 33.9%를 차지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나 고통에 관한 걱정보다 진료비가 더 큰 부담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지난해 국내 항암제 매출액은 글로벌항암신약이 91.3%인 9,903억9,000만원인 반면 국내항암신약은 8.7%에 불과한 938억3,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종근당 캄토벨주 35억6,500만원 ▲일양약품 슈펙트 58억6,200만원 ▲JW중외제약의 뉴트로진 89억2,800만원 ▲대웅제약 루피어데포 224억7,700만원 ▲셀트리온 허쥬마 254억2,900만원 ▲GC녹십자셀 이뮨셀엘씨 275억6,600만원 등이다. 

제약기업들의 R&D 투자 현황 역시 국내 기업과 글로벌 기업간 차이가 확연했다. 국내 10대 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은 ▲셀트리온 21% ▲한미약품 21% ▲삼바에피스 24.2%였고, 글로벌 10대 기업은 ▲로슈 20.8% ▲머크 27.9% ▲BMS 22.4% ▲화이자 21.2% 등이다. 

박중원 단장은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진행성 간세포암종 전신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에 참여한 신약 30개 중 ▲1차 치료는 소라페닙, 렌바티닙,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요법 ▲2차 치료는 니볼루맙, 레고라페닙, 카보잔티닙, 라무시루맙, 펨브로리주맙, 니볼루맙+이필리무맙 병용요법이 성공하는데 그쳤다며, 신약개발의 어려움도 강조했다. 

그는 “항암 신약개발 과정에서 임상시험의 중요도가 높은 만큼 임상 전문가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미국은 임상전문가들의 책임감과 전문가에 대한 무한 신뢰에 근거에 진행하지만, 우리나라는 임상 전문가들을 이익집단 구성원으로 간주해 ‘단순 자문’ 정도만 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