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의 10명 중 8명은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4월부터 이달 14일까지 18세 이상 확진자 총 10만5,25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코로나19 백신의 감염 및 중증 예방효과 결과를 24일 밝혔다.
방대본에 따르면 해당 기간 확진자와 위중증 및 사망자들의 예방접종력 분포를 분류한 결과, 확진자 중 87.9%, 위중증 환자 중 84.9%, 사망자 중 82.4%는 미접종자였다.
이 기간 동안 18세 이상 전체인구 4,411만8,077명 중 미접종자 2,190만8,903명을 비교집단으로 접종완료자와 코로나19 발병률을 비교한 결과, 미접종군 대비 접종완료군에서 백신 감염예방효과는 82.6%로 나타났다.
접종완료군에서 확진자는 2,383명으로, 10만 인일(각 개인에 대한 추적관찰기관의 합) 당 발생률은 0.55명이었으며, 미접종군에서는 9만2,500명이 확진돼 10만 인일 당 발생률은 3.18명이었다.
연령대 감염예방효과는 60세 이상에서 96.5%, 60세 미만에서 69.0%으로 나타났고, 60세 미만에서 감염예방효과가 낮은 것은 젊은 층에서의 유행상황과 동 연령대의 낮은 접종률 등의 영향으로 추정됐다.
또한 방대본은 지난 5월 이후 확진자 중 위중증 및 사망 여부 확인을 위한 28일간의 추적관찰기간이 종료된 사례를 6만5,347명 대상으로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도’와 비교한 결과도 공개했다.
그 결과 전체 중증화율이 2.17%, 연령표준화 중증화율이 미접종군 2.40%, 1차 접종군 0.97%, 접종완료군 0.35%로 나타나 중증예방효과는 85.4%로 분석됐다.
사망예방효과는 97.3%로 분석됐다. 전체 치명률 0.33%, 연령표준화 치명률은 미접종군 0.42%, 1차접종군 0.99%, 접종완료군 0.01%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한편 방대본은 돌파감염 추정 사례도 분석했다. 누적 돌파감염 추정 사례의 경우 국내 접종완료자 740만7,767명 중 0.035%에 해당하는 2,599명으로, 30대가 0.076%(10만 접종자 중 76명)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돌파감염 발생률은 감소했다.
백신 종류별로는 얀센 백신 접종자 중 발생률은 0.098%(10만 접종자 중 97.8명),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중 0.055%(10만 접종자 중 55명),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0.018%(10만 접종자 중 18.4명) 순이며, 교차접종자 중 발생률은 0.012%(10만 접종자 중 11.8명)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