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코로나19 집단감염 역학분석…대응 매뉴얼 개선
26일까지 ‘집단사례별 위험도 기준‧평가 등 유행역학조사 방법론 개발’ 연구용역 입찰 공고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4-22 06:05   수정 2021.04.22 10:35
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를 연구해 대응지침에 반영하고 역학조사 매뉴얼을 개선할 연구기관을 모집한다. 

질병청은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오는 26일까지 ‘집단사례별 위험도 기준‧평가 및 공기역학적 특성 분석을 통한 유행역학조사 방법론 개발’ 사업을 수행할 연구기관을 공개입찰을 통해 모집한다고 최근 공고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호흡기전파 감염병인 코로나19는 밀폐‧밀집‧밀접한 3밀(密) 환경조건에서 전파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집단사례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실내 환경과 환기 조건, 사람 간 직‧간접 접촉, 방역수칙 준수 등 각 요소들의 영향력 등 전파 위험도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나 역학조사 체계는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다. 

이에 질병청은 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향력을 파악하고, 확산요인으로서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분석해 집단발생 사례의 유행역학조사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 해당 연구사업을 진행할 기관을 공개입찰을 통해 선정한다고 전했다. 

해당 연구사업은 계약일로부터 6개월 이내로 진행하게 되며, 연구비는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1억2,000만원이다. 계약방식은 일반경쟁,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로 이뤄진다. 

구체적으로는 1세부과제의 경우 ▲다양한 집단발병 사례 50건(다중이용시설, 종교시설, 의료기관, 요양기관, 수용시설 등 선정)을 대상으로 전파특성 분석을 통한 요인별 위험도평가 기준 개발 및 영향력 평가 ▲공기역학적 특성을 포함한 유행역학조사 방법론 개발 등을 연구하게 된다. 

2세부과제에서는 ▲집단사례 주요 시설(6개소, 대중교통 포함)별 공기역학적 특성 조사 ▲공기역학‧환기 영향력 평가기준 마련 등을 연구할 방침이다.  

연구 결과는 향후 주요 집단발생사례의 위험요인 등 역학적 특성분석을 통해 근거기반의 개량화‧표준화된 위험도평가표 개발에 활용된다. 또 현장 역학조사 시 개량화‧표준화된 위험도평가표를 이용함으로써 정량적인 위험요인 발굴 등 역학적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방역대응조치를 수행하는 데 적용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집단사례 요인별 위험도 및 공기역학‧환기 평가 기준서를 마련하고, 유행조사 방법론(매뉴얼) 개선을 통한 대응지침에 반영하게 된다. 

한편 해당 입찰은 지난 6일 첫 공고 후 단독응찰로 인해 지난 19일 1차 유찰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