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7,0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제약‧바이오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신약 연구개발을 비롯한 전문인력 양성, 해외진출 지원 등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제5기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를 구성하고,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2021년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위원회는 2021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과 혁신형 제약기업 관련 사항 등을 심의하고, 올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전략과 국가신약개발사업 비전 등을 보고받았다.
우선 정부는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신약 연구개발을 비롯해 전문인력 양성, 해외 진출 지원 등에 올해 총 7,718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지원 예산 4,699억원 대비 64% 증가한 규모로, 제약·바이오산업을 시스템반도체, 미래차와 더불어 3대 미래 혁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올해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의 주요 내용은 ▲R&D 지원 ▲전문인력 양성 ▲수출 지원 ▲기반조성 및 제도 개선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항암신약 및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등 연구개발에는 6,451억원을 지원하게 된다. 주요 사업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627억원, 백신 임상 지원에 687억원 ,국가신약개발사업 451억원 등이다.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한국형 NIBRT) 양성, 임상시험, 인공지능·빅데이터 전문인력 육성에는 891억원을 투입해 신약개발 및 생산 효율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인·허가 등 해외 진출 컨설팅, 한국 제약산업 홍보, 해외거점 구축에는 61억원을 지원해 수출역량을 강화하게 된다.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기준 개편,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정비 등에는 31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위원회는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연장 계획(안), 일부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위 승계 및 유지 등에 관한 논의도 진행했다.
오는 6월 19일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이 만료되는 31개 기업들에 대해서는 6월 전까지 인증연장 심사와 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인증 작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지난 2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위원회에서 발표한 ‘2021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등 지원전략’과 오는 7월 개시되는 국가신약개발사업의 ‘비전과 전략’ 등도 보고받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과 관련해 기존 기조대로 국산 치료제·백신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는 한편, 개발과 구매를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취해 코로나19의 조기 극복에 주력할 계획이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복지부·과기부·산업부가 유효·선도물질 발굴부터 후보물질 개발, 비임상 및 임상 2상, 사업화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범부처 R&D 지원사업으로, 연매출 1조원 이상의 블록버스터 신약개발 지원 등을 위해 2030년까지 총 2조2,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 개편 방향은 최근 산업 변화를 반영해 현재 단일 인증유형을 벤처형(Start-up)과 일반형(Scale-up)으로 분류해 각각에 맞는 지원 방향을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제약‧바이오산업은 미래차·시스템반도체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혁신성장을 이끌 빅3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아직 선진국들과의 기술격차가 있으나, 산업의 발전을 위해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민관이 함께 노력해나간다면 머지않아 큰 도약의 계기를 맞이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