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블록체인 기술로 ‘전자 예방접종증명서’ 위변조 방지
15일부터 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에서 전자 예방접종증명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가능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4-14 15:28   수정 2021.04.14 15:41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15일부터 코로나19 백신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예방접종도우미‧정부24 누리집에서 출력 또는 전자문서 지갑에서 예방접종 증명서를 발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앞으로는 코로나19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를 통해 ▲증명서의 위‧변조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활용해 코로나19 접종사실을 인증하는 등 종이증명서의 단점을 보완하게 된다.

질병청은 이번에 개통하는 코로나19 전자 예방접종증명서의 위‧변조 방지 및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해 블록체인과 분산신원인증(DID) 기술을 적용한다고 전했다.

블록체인 기술로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 보관 'NO'
질병관리청이 직접 운영하는 블록체인에는 전자 예방접종증명서의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한 공개키(Public Key) 정보만 기록되고,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는 보관하지 않도록 구현했다. 

블록체인에는 가상화폐를 활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정보 저장소(노드) 간 합의 알고리즘을 구현, 블록체인 사용 시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블록체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질병관리청(2), 보건복지부(1),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1) 및 한국보건의료정보원(1) 등 4개 기관에 블록체인의 정보 저장소 5식을 분산‧설치했다.

분산신원인증(DID) 기술로 ‘개인키’ 암호화 
질병청은 전자 예방접종증명서에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 및 암호화해 접종자에게 발급하고, 공개키(Public Key)만을 블록체인 정보 저장소에 보관한다.

또한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를 큐알(QR)코드로 제시한 경우, 검증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해 접종관련 최소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검증 내역은 제3자가 확인할 수 없도록 개발했다.

해당 분산신원인증 기술은 국제 웹 표준기구(W3C)의 표준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관련정보 외에 접종자가 직접 개인의 정보공개 범위(성명, 생년월일 등)를 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질병청은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민간 벤처기업인 블록체인랩스(공동대표 엄지용, 김종현)와 14일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블록체인랩스는 정보 저장소를 확대하기 용이하면서도 운영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자체 개발 및 특허 출원한 합의 알고리즘 등을 이번 전자 예방접종증명서에 적용키로 했다.

앞으로도 전자 예방접종증명서 발급시스템의 성공적 구축과 운영을 위해 기술 지원 등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질병청 정은경 청장은 “이번 코로나19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는 위변조 사례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등 종이증명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진했다”며 “접종자의 전자예방접종증명서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자 예방접종증명서의 발급 및 인증 어플리케이션은 15일 0시부터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