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의약품 주입펌프 안전성 확보 방안 마련
제11차 국가환자안전위원회 개최…환자안전 종합계획 논의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4-07 17:40   수정 2021.04.07 17:41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가 환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복지부는 7일 제11차 국가환자안전위원회(이하 ‘국환위’, 위원장 강도태 2차관)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환위는 환자안전법 제8조에 근거해 복지부 2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며, 17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돼 환자안전에 관한 주요 시책 및 사업계획 등을 심의하는 기구다.

이번 11차 회의에서는 ▲제1차 환자안전종합계획에 따른 지난해 추진실적과 올해 이행계획 ▲환자안전사례분석 TF(의약품 주입펌프 조작오류)를 보고받았다. 

또한 환자중심 안전 문화 조성을 알리는 ‘환자안전의 날’을 올해부터는 기존 5월 29일에서 9월 17일로 변경하기로 했다.

2020년 환자안전종합계획, 자율보고 분석해 8건 조치
복지부는 지난해 ‘중대한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의무화’ 규정 신설 및 의료기관을 위한 ‘의무보고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다. 

지난해 환자안전 자율보고 건수 1만3,919건 분석한 결과, 그 중 27건에 대한 관련 조치인 주의경보 7건, 보고서 2건, 정보제공지 8건 등을 시행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소아 낙상’ 등 환자안전 주의경보 발령(7건), ‘주사 감염 예방 환자안전 가이드라인 발간’ 등 환자안전 환류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중소 보건의료기관 지원을 위한 지역환자안전센터 예비사업(4개 기관)을 진행해 환자안전사고 교육, 예방 및 홍보 활동을 수행했고, 국내 15개 공공의료원을 대상으로 ‘2019년 환자안전사고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해 국내 환자안전사고의 빈도,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다양한 홍보사업으로 코로나19 의료진 감동사례 대국민 공모전, 환자안전 서포터즈 창단 등 환자 중심 안전문화 조성 실적이 포함됐다.

2021년, 환자안전 정보시스템 기능 고도화
복지부는 올해 환자안전사고 보고 접수‧관리를 위한 환자안전 정보시스템의 안정적 운영 및 기능 고도화를 추구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보고되는 중대한 환자안전사고를 체계적인 분석하고,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효율적 환류체계 안정적 운영을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예비사업의 시사점을 반영해, 중소 보건의료기관(중소병원, 의원 및 약국)의 환자안전활동 지원을 위한 지역환자안전센터를 지정해 교육·예방의 연계 인프라 총 5개소를 구축하기로 했다.

환자안전사고 예방 및 솔루션을 위한 첨단 사물인터넷 기술(IoT) 등을 활용한 환자안전 연구개발R&D에는 총 8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환자안전문화 조성을 위해 환자안전 서포터즈, 공모전, 대국민 캠페인 등의 홍보 활동, 의사소통 강화프로그램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환자안전 사례 분석 TF 운영(의약품 주입펌프) 결과
이번 국환위에서는 항암제 등 수액 의약품의 투입량, 시간 등을 정밀하게 조정해 주는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 동작버튼 사용성 실험을 통해 사용자 오류를 최소화하는 표준 디자인(수액 라인 설치 방향, 버튼 위치‧색상 등 인터페이스 모델)을 의료기기 업체에 제공해 신제품 개발에 활용토록 했다.

또 단계별(기기 구매, 설치 및 체내 주입 등) 주의사항 및 교육내용을 포함한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써 의료기관 취급자들의 조작 오류를 최소화해 환자안전 사고 재발 방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9월 17일을 세계 환자안전의 날로 지정하면서 환자안전 글로벌 액션 플랜 동참 요청에 따라, 우리나라도 환자안전의 날을 기존 5월 29일에서 9월 17일로 변경하는 안이 의결됐다. 

복지부 이창준 국장은 “9월 17일 환자안전의 날 일정에 맞춰 제4회 환자안전 주간 행사를 실시해, 모든 국민이 동참하여 환자안전, 의료질 개선 통한 국민안전이라는 결실이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며 “전국적 규모의 의식과 행사를 통해 환자 중심 안전문화 조성을 위해 ‘환자안전법’ 또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개정을 통해 ‘환자안전의 날’의 국가기념일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