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이후 사업장 관련 코로나19 집단감염 발생이 총 16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한 업종은 제조업이었으며, 산업 규모 대비 환자 발생이 가장 많은 업종은 육가공업으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6일 코로나19 대응 정례브리핑을 열고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추진 현황 등을 발표하며 이같이 전했다.
이상원 중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올해 사업장 관련 집단감염은 총 161건으로 관련 확진자는 3,462명이 발생했다”며 “집단 사례 1건당 관련 확진자는 21~24명”이라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발생 추이는 1월 41건(844명), 2월 60건(1,408명), 3월 60건(1,210명)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한 업종은 제조업으로, 1~3월 동안 총 54건, 1,280명이 발생해 전체 집단감염 발생 중 37%를 차지했다. 이어 서비스업, 육가공업, 도소매업 순으로 집단감염이 많았다.
이상원 단장은 “대표적인 사업장 집단발생 사례로는 충북 충주시의 육가공업장 관련 68명, 경기도 안성시 축산물공판장 관련 140명이 발생했으며, 경기도 남양주시 플라스틱공장 관련 집단감염으로는 200명의 환자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서울 광진구 음식점 관련 82명, 경기도 광주시 재활용의류선별업 관련 20명의 집단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대본은 특히 육가공업이 유행 1건당 환자 발생이 가장 많았으며, 산업 규모 대비 환자 발생 빈도가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고 전했다. 지표환자는 대부분 해당 사업장 종사자였고, 이후 동료, 가족, 지인 등에게 추가 전파가 이뤄졌다.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증상 발현 이후에도 업무를 계속하거나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것 ▲환기가 불충분하고 밀폐된 작업 환경 ▲공용공간 이용 또는 공용기숙사 생활 중 기본방역수칙 준수가 미흡한 경우 등으로 확인됐다.
이 단장은 “사업주와 사업장 관리자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감염병 예방교육과 함께 사업장 내 주기적인 환기와 소독, 마스크 필수 착용 등 방역수칙을 철지히 준수해 달라”며 “직원들에게는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중대본은 또한 이달 말까지 지역예방접종센터를 267개 센터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상원 단장은 “8일부터는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는 지역예방접종센터 22개소를 추가 개소해 중앙권역센터 포함 총 71개소로 확대한다”며 “이를 위해 22개 센터에 지난 5일까지 백신 배송을 완료하고, 8일부터 접종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정부와 지자체는 향후에도 지역예방접종센터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모든 시군구 당 1개소 이상을 목표로, 이달 말까지 총 267개 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다.
예방접종센터 개소일은 지자체별로 상이하며, 접종 대상인 75세 이상 어르신은 반드시 관할 읍면동에서 안내한 지정된 접종 일시를 확인하고 접종센터를 내원해야 한다.
이상원 단장은 “예방접종에 동의한 후 아직 접종일시를 통보받지 못한 어르신들에게는 지자체별로 접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종 예정일 및 시간이 통보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