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평균 확진자 수가 일주일 새 50명 이상이 늘어 4차 대유행 우려를 키우고 있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비슷한 규모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반면, 국내 발생 감염자 수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국내 발생 확진자가 최근 일주일 간 1일 평균 477.3명으로 직전 1주인 3월 21~27일간의 평균치인 421.6명보다 13.2%인 55.7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해외유입 확진자는 최근 1주간 1일 평균 18.1명으로, 지난주에 이어 20명 미만이다. 전국 일평균 확진자 수는 400명대이며, 경남권‧충청권‧호남권은 주점‧유흥시설‧목욕탕 등 다중이용시설, 모임 등을 통한 집단 발생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감염경로는 ▲선행 확진자 접촉 39.8%(1,382명) ▲집단발생 26%(902명) ▲해외유입 3.7%(127며) ▲병원‧요양시설 2.2%(75명) ▲조사중 28.3%(982명)로 나타났다.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3일 0시까지 신고된 3,468명을 기준으로 최근 1주간 감염경로별 확진자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조사중 비율도 28.3%로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확진자 접촉에 의한 감염 비중도 39.8%를 차지하면서 전주에 이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신규 집단발생은 총 30건으로 ▲가족‧지인모임 7건 ▲직장(장갑제조업‧운송업‧농업‧연구소‧우체국 등) 6건 ▲실내체육시설(헬스장‧복싱장 등) 4건 ▲주점(유흥주점‧포차) 3건 ▲교육시설(대학교‧고등학교‧초등학교‧어린이집) 4건 ▲교회 2건 ▲목욕장업 1건 ▲노래연습장 1건 ▲일반음식점 1건 ▲노인요양시설 1건 등이다.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는 이전주 대비 소폭 감소했고, 치명률도 1.66%로 낮아졌다.
사망자는 총 19명으로, 60세 이상이 94.7%인 18명을 차지했고, 이중 80대 이상은 47.4%인 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대 6명(31.6%) ▲60대 3명(15.8%) ▲50대 1명(5.3%) 순으로 나타났다.
사망자의 추정 감염경로는 ▲확진자 접촉 4명(21.1%) ▲시설 및 병원 3명(15.8%) ▲지역 집단발생 3명(15.8%) ▲조사 중 9명(49.4%)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17명(89.5%)이며, 나머지 50대 1명과 70대 1명은 조사 중이다.
국내 확진 외국인 비율은 3월 1주 최고치 이후, 점차 감소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지난주에는 국내 발생의 4.8%인 162명으로 확인돼, 전주 수치인 9.3%(273명)에서 절반으로 줄었다.
시도별로는 ▲경기 72명(7.8%) ▲서울 32명(3.0%) ▲충북 24명(19.4%)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