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변이 국내 182건…美 캘리포니아‧뉴욕 유래도 확인
권준욱 제2부본부장 “변이는 자연스런 현상, 두려워 말고 기본 방역수칙 지켜달라” 당부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3-11 15:31   수정 2021.03.11 15:34

지난해 10월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는 총 182건으로, 이중 GRY 그룹인 영국 변이바이러스가 154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와 뉴욕, 영국과 나이지리아에서 유래한 또 다른 변이바이러스도 국내에서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권준욱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11일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변이바이러스 발생 모니터링 상황을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방대본에 따르면 방역당국은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성 분석 및 변이 바이러스 발생 확인을 위해 전장유전체 분석 등을 통한 감시 및 분석 확대를 지속하고 있다.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11일까지 총 3,781건(국내 2,768건, 해외유입 1,013건)의 검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국내 발생사례에서 지난해 5월 이후 GH그룹(90.1%)이 여전히 우세함을 확인했고, 해외유입 사례는 GH(38.3%), GR(33.1%), G(11.2%), GRY(10.3%)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 이 중 GRY는 세계보건기구가 붙인 속칭 ‘영국’ 유래 변이 바이러스다. 

방대본은 지난해 10월 이후 현재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주요 변이 바이러스는 총 182건으로, GRY인 영국 변이가 154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남아공 변이 21건, 브라질 변이 7건이라고 전했다. 

방대본은 일부 국가들에서 환자 증가는 관찰되지만 임상‧역학적 위험도가 아직 확인되지 않은 기타 변이바이러스(미국 캘리포니아 유래 452R.V1, 미국 뉴욕 유래 B.1.526, 영국·나이지리아 유래 484K.V3 등)에 대한 국내 발생 상황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유래 변이바이러스는 지난해 12월 이후 68건, 미국 뉴욕 유래 변이바이러스와 영국‧나이지리아 유래 변이바이러스는 지난달 이후 각각 3건, 4건으로 총 75건이 확인됐다. 


이들 75명에 대한 인지경로를 살펴본 결과, 해외유입 30명의 경우 19명은 검역단계에서, 나머지 11명은 입국 후 자가 격리 중 실시한 검사에서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확인된 45명의 미국 캘리포니아 변이바이러스 감염자는 모두 내국인으로, 이중 43명은 11개 집단사례 관련 확진자이며, 2명은 개별 발생사례로 모두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국내 감시 과정에서 확인됐다. 

권준욱 제2부본부장은 변이바이러스의 지역사회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먼저 해외입국자 자가 격리 관리에 대한 실효성 제고를 위해 지자체에 특별점검주간 편성 등 점검을 강화하고, 외국인 커뮤니티, 주한 외국대사관 등 관계망을 활용해 자가 격리 수칙 준수, 위반 시 제재조치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항공사 승무원의 경우, 자가격리 예외가 되어 변이바이러스 취약‧방역 사각지대가 될 가능성이 높은 점을 고려해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우선 실시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권 부본부장은 “해외입국자에 대한 방역 강화 등 변이바이러스 감시 및 분석 확대를 지속하고 있다”면서 “변이는 바이러스 생활사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큰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감염 차단을 위한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등 기본 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코로나19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실무추진위원회는 지난 9일 ‘코로나19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백신전문위원회’ 및 ‘mRNA백신 전문위원회’를 개최하고, 정부 차원의 mRNA백신 개발전략 및 로드맵을 마련해 mRNA백신 사업단 운영을 추진하기로 했다.

추진위에 따르면 전문위원회는 국내 개발 중인 백신의 임상시험 수행에 필요한 코로나19 백신 면역대리지표(ICP)의 국제 연구 동향 및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백신개발 현황을 파악하게 된다. 또 정부차원의 백신개발 지원전략을 논의하고,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항체조사를 통한 국내 데이터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