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는 약사회의 공적판매처 포기에 대한 언급에 대해 합의점을 찾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양진영 차장은 27일 브리핑을 통해 약사회, 유통량 논란과 같은 최근 이슈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양 차장은 "6월 이후 7월부터 공적 마스크 제도를 어떤 식으로 운용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그간의 수급량 그리고 유통과정 상의 예측량 등을 총체적으로 감안해서 관련부처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약사회에서 공적판매처 역할을 포기하겠다는 언급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들은 바는 없지만 혹시라도 그런 사항이 있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또 어떤 이유때문에 언급됐는지를 면밀히 살펴봐서 합리적으로 해결해나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최근 마스크 유통량이 200만 장 정도 차이가 나 논란이 됐던 부분에 대해선 "130여 개가 넘는 제조업체가 그간 수개월간 수십억개의 마스크를 생산하고 또 출고 ·유통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식약처에 보고해야 되는 보고 주체, 시점 등에 따라서 집계상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내부 자체조사를 실시해서 전반적으로 상황을 살펴보고 차이가 있으면 더 줄여나가겠다"며 "어떤 유의미한 문제가 혹시라도 확인이 되면 그에 따른 적절한 필요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오늘 공적 판매처를 통해 공급되는 마스크는 총 882만 개이며 세부적으로는 약국에서 710만 3,000개, 농협하나로마트에서 8만 4,000개, 우체국에서 6만 개가 판매되고 의료기관에는 147만 개가 공급된다.
정책적 목적으로는 해외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와 유족을 위해 국가보훈처에 2만 5,000개, 운수업 종사자를 위해 국토부에 7만 8,000개를 공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