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원격의료 제도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특수상황 조치…의료계와 협의 계속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5-19 13:11   
의사협회가 비대면 진료·원격진료 추진에 반대하며 회원에게 전화상담 중단을 권고한데 대해 정부가 원격의료 제도화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19일 코로나19 오전 정례브리핑 질의응답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대한의사협회의 전화상담 처방 전면중단 권고에 대한 정부 입장을 묻는 질의가 이뤄졌다.

이에 대해 윤태호 총괄방역반장은 "저희가 감염병 위기상황에서 실시한 상당히 한정된 형태의 대면진료, 즉 전화진료, 전화처방에 대한 부분들이 사실상은 코로나19의 어떤 위기상황에서는 의료 이용의 안전성, 특히 기저질환자, 노인들의 의료 이용의 접근성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판단한다"고 답했다.

또한 "이러한 부분들이 어떤 강제적인 조치라기보다는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서 이 부분이 현재 시행되고 있다"며 "저희들이 파악한 바로는 한 5월 10일까지 한 26만 건의 전화진료가 이뤄져서 많은 기저질환자 그리고 노인들의 어떤 의료 접근성이 어느 정도는 보장이, 코로나19의 위기 속에서도 보장이 됐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중 ⅓이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대구·경북 지역에서 이뤄졌다는 사실만으로도 의료 이용의 접근성, 안전한 의료 이용이라는 부분에 어느 정도 전화처방, 전화상담 부분들이 기여를 했다는 설명이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전체적으로 보면 동네에 의원이 약 한 42% 정도의 환자를 진료했다"며 "따라서 저희가 이러한 부분들을 원격의료라는 측면으로서 제도화하는 부분들을 지금 현재 고려를 하지 않고, 이 감염병 위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조치로 저희들이 이 부분이 추진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산발적으로 계속해서 나타날 수 있고, 또한 가을철 재유행이 지금보다 크게 올 수도 있다는 우려들이 있다"며 "그러한 상황들에 대비해서 지금 현재 이뤄지는 비대면 진료들이 어떤 부분들이 보완돼야 하고, 어떤 부분들이 개선돼야 하는지 논의가 같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의료계와 계속해서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