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렘데시비르가 긴급승인 됐지만, 방역당국은 한국에서는 좀더 충분한 임상사례를 확인후 긴급사용 승인이 논의될 수 있다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3일 정례브리핑에서 렘데시비르 관련 질의에 대해 이같이 응답했다.
현장에서는 서면(문자)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로 임상중인 렘데시비르 도입을 둘러싼 찬반논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방역당국의 입장을 물었다.
미국과 일본 등 긴급 승인이 난 국가와는 달리 한국에서 검증되지 않은 것을 도입하는 것을 무리라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임상연구중인 보건당국은 어느정도의 진척도가 있는지 물은 것이다.
이에 대해 정은경 본부장은 "렘데시비르에 대해서는 미국 식약처가 중증환자에 대해서 긴급사용 승인을 한 상황이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여러 국가에서 여러 의료기관이 참여한 대규모의 임상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며 "그래서 아마 중간 결과를 가지고 긴급사용 승인에 대한 것을 제한적인 것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아마 충분한 환자 사례를 모아서 분석을 해야 치료가 궁극적인 치명률, 사망률을 줄이거나 아니면 다른 위중도를 낮추는 구체적인 임상연구, 임상시험 결과가 반영이 돼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작용 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충분한 환자에 대한 투약 결과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은경 본부장은 "현재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어서 그런 면은 긍정적이라고 보고 있다. 저희도 효과가 어느 정도 인정된 경우에는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을 식약처, 복지부하고 협의를 계속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어느 정도 사례가 우리나라에서 모였는지에 대해서는 저희가 구체적으로 계속 동향에 대한 것은 보고받지는 않아서 진행 중이라는 것 정도를 파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