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치료를 위한 혈장치료제 개발이 올해 7월 임상시험을 목표로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23일 오후 이뤄진 코로나19 정례브리핑 질의응답에서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서면을 통해 혈장치료제에 대한 출시 현황과 이를 위한 분석 등을 물었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코로나19가 감염됐던 환자들은이를 이겨내기 위해서 면역체계에서 스스로 항체를 만들어 내는데(중화항체), 이를 가진 혈장·혈액을 확보해 혈장 자체를 환자, 다른 코로나19 환자에게 집어넣어주면 그 안에 있는 항체 성분 자체가 중화항체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싸워 이겨서 치료가 되는 기전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항체를 명확하게 측정해 약제처럼 정제해서 사용하는 것이 혈장치료제고, 성분 헌혈 개념으로 회복기 혈장을 투입하는 것이 혈장치료"라며 "방역당국은 다른 선진국의 어떤 발표나 입장을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의 국립보건원, 즉 미국의 NIH가 치료안내지침에 따르면 아직 명확한 효과가 입증된 것이 아니라고 최신 치료 지침을 통해 밝힌 바는 있다"고 전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료가능성을 가징 항체치료제 및 혈장치료에 대한 모색은 계속된다는 것이다.
권 부본부장은 "항체치료제와 관련해서는 이미 3월부터 공동연구가 시작이 돼 혈장치료제 생산이 가능한 업체에 대해서 지금 공개적으로 모집 공고가 나가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며 "그렇게 되면 혈장을 확보를 하고 혈장제제까지도 확보를 해서 임상시험을 시도해볼 수 있는 시기를 7월 말로 잡아서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복기 혈장과 관련해서는 "이미 관련된 안내지침이 완성돼 지난주 월요일(13일)부터 시행이 되고 있고, 그 지침 이전에 이미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을 했기 때문에 국내의 유수의 민간의료기관에서 3건의 회복기 혈장 치료가 시행이 됐다"며 "현재 방대본으로 관련 의료기관 문의가 있다고 파악하지만, 실제로 해당 3건 이후 시도가 된 것을 파악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