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원에서 제작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 첫 도전단계에 해당된다고 현 주소를 짚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7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 질의응답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브리핑에서 백신 후보물질 제작이 향후 백신개발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백신개발까지는 얼마만큼의 기간이 소요될 지 질의가 이뤄졌다.
이에 대해 권준욱 부본부장은 "오늘 발표한 백신 후보물질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자체가 당단백질을 사용하고 돌기 밑에 헥산에 해당하는 몸체는 다른 바이러스의 구조단백질을 심음으로써 사실은 백신 후보물질을 이러한 후보물질을 통해서 백신연구를 진행해 바이러스 유사체를 국립보건연구원이 제공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기본 기전을 설명했다.
다만 "지금 현재 객관적인 현실을 말씀을 드린다면 물론, 코로나19와 관련해서 전 세계에서 DNA 백신, RNA 백신, 유사체 백신 이렇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이렇게 바이러스 개발에 아직은 우리 인류가 성공했던 적은 없고, 처음 도전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밝혔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지나갔던 쉽게 말씀드리면 메르스도 그렇고 사스도 그렇고 아직은 백신이 상용화되거나 실용화된 적은 없는 상황"이라며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이 유행을 선언하기 직전 18개월 정도로, 18개월조차도 어떤 전문가들은 상당히 낙관적인 판단이다, 라고 얘기를 할 정도이기 때문에 백신 개발도 상당히 험난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그래도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하나하나 차분히 바이러스 유사체 기반 백신개발을 위한 어떤 후보물질을 개발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