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충제로 알려진 이버멕틴의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에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식약처 역시 임상 등 개발 현황을 적극 모니터링할 것이라 밝혔다.
식약처는 6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 가능성으로 이버멕틴에 관한 질문에서 "최근 세포배양 실험에서 이버멕틴을 노출한 후 48시간이 지나서 바이러스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인체 투여 시 안전성이 알려져 있어 향후에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이버멕틴 성분이 함유된 구충제는 허가되어 있지 않지만, 수출용으로 1개의 품목은 허가돼 있다.
식약처는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임상시험 신청이나 개발상담 요청 등은 그간 없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구충제의 경우 흡수율이 낮으므로 치료제로 개발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식약처에서도 개발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버멕틴은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아 안전성이 입증된 구충제로, 최근 호주 모니쉬대학 생의학발견연구소의 카일리 왜그스태프 박사가 세포 배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이버멕틴에 노출되자 48시간 안에 모든 유전물질이 소멸됐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단 한 번 투여된 용량에도 24시간 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RNA가 상당 부분 줄어들었고 48시간이 지나자 RNA 전부가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팀은 "세포 배양 실험에서 나온 결과이기 때문에 코로나19 환자에게 직접 투여하는 임상시험이 필요하다"며 "또한 어느 정도 용량을 투여해야 코로나19 감염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 우선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