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FDA에서 항체진단키트가 승인됐지만, 현 시점에서는 신속한 진단을 위해 기존 RT-PCR 방식이 계속 유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후 보조 진단수단으로서는 검토해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3일 코로나19 브리핑 질의응답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현장에서는 미국 FDA에서 신속진단도구가 잇따라 승인되는 가운데, 기존 RT-PCR 진단도구와 병행 필요성에 대한 질의가 있었다.
정은경 본부장은 이에 대해 "미국에서 최근 항체진단키트가 하나 승인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금 저희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RT-PCR이라는 유전자 증폭검사를 주로 확진검사로 쓰고 있는데, 항원항체법에 대한 항체진단키트에 대해서도 저희도 그 필요성에 대한 것은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그러나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는 감염이 돼서 우리 몸 안에서 항체가 만들어지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는데, 며칠 만에 항체가 형청이 되고 얼마나 지속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좀 필요한 상황"이라며 "최소한 5일에서 12일이 돼야 항체가 형청되기 때문에 항체검사법이 갖는 것은 초기에 감염을 진단하는 데는 상당히 제약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초기감염, 특히 우리나라는 지금 발병에서 진단까지가 이틀 정도 만에 진단을 하고 있고 또 무증상 시기에서도 굉장히 많은 진단을 하고 있다"며 "진단기간이 짧을 때는 항체의 형성이 되기 전 단계기 때문에 항체검사가 좀 제약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서 진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이런 항체검사법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정은경 본부장은 "어떤 집단면역이 어느 정도 됐다는지, 항체 양성률이 얼마나 됐는지에 대한 조사를 하는 수단으로서도 항체검사는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질병관리본부도 계속 항체검사법에 대한 검사법 개발과 또 일부 확진자를 대상으로 해서 항체검사를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진단키트에 대해서는 아마 식약처를 통해서 이런 진단키트가 우리나라에서도 신청이 들어오면 승인할 수 있는 검토는 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