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빅데이터·AI 활용 의약품 공급중단 사전 차단한다
공급 차질로 인한 조제 등 어려움 해소위해 사전 예측 시스템 구축
김용주 기자 yj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1-13 06:00   수정 2020.01.13 06:51

다국적사를 바롯해 제약사들의 의약품 공급 중단이 빈번한 가운데, 식약처가 AI와 빅데이터와 활용해 공급중단 문제를 사전에 해결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제약사들의 빈번한 의약품 공급중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약품 공급중단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빍혔다.

의약품안전국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정기국회 국점감사에서 의약품 공급중단과 관련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 식약처가 축적한 여러 자료를 종합해 알고리즘을 만들면 의약품 공급증단이 언제쯤 어느정도 상태로 발생할지 예측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의약품 중급중단 예측시스템 구축을 추진중이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빅데이터와 AI 활용 방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청와대 업무보고 이후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며 "의약품 공급중단 외에도 안전관리와 관련한 분야에 빅데이터와 AI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제약업계에서 원료수급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의약품 공급 중단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수입사가 생산·수입·공급을 중단하는 경우 그 사유를 중단일의 60일 전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해야 하는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외에도 공급에 차질을 빚는 의약품이 적지 않아 약국 등에서는 조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은 2017년에 86품목, 2018년에는 81품목에 달했다. 또 지난해에는 6월말까지 다국적 제약 8개사 13품목을 비롯해 총 31품목이 공급중단을 보고한 바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