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필수약 인도적 지원, 각계 협력 기반으로"
정세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희귀필수의약센터 격려 방문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1-11 06:00   수정 2020.01.11 09:36
북한의 열악한 의료환경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필수의약품·필수의료 지원을 위한 보건의료단체 및 민간의 연계가 강조됐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정세현 수석부의장은 지난 10일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를 격려방문하고 한반도 건강공동체 마련을 위해 제언했다.

정세현 부의장은 "국가마다 자원 투자의 우선순위가 있을 텐데, (북한의 경우) 국방붑터 튼튼히 하고자 했기 때문에 농업, 제약, 의료가 형편 없는 이유가 여기 있으리라 본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요즘은 일회용이 당연하지만, 옛날에는 유리로 된 주사기를 사용하고 삶아서 재사용했다. 북한이 이런 상황"이라며 "2003년 4월 초 남북장관급 회담 당시 사스 때문에 동아시아 전체가 난리가 났고, 북한이 감염 우려로 입국을 막아 결국 4월 말에 진행됐는데, 거기에서도 50~60명의 체온 수온계를 머릿수대로 들고오지도 못해 순서대로 겨드랑이에 꼽기도 했다"고 떠올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에서 현재 필요한 의약품이 많다는 설명이다.

정 부의장은 "필수의약품 중 북한에 필요한 물품이 많다. 그중 지난해 북한에 독감이 유행했는데, 타미플루를 보내고자 했으나 UN에서 트럭은 지날 수 없고 의약품만 보내라고 하면서 판문점 문을 열지 않았다"며 "아마도 북에 지원되는 모습이 군사적으로 이용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의약품은 인도적 차원에서의 대북지원으로 대북 제재에는 저촉되지 않는다"며 "인도적 차원의 지원은 계속돼야 한다. 구체적인 안은 희귀필수의약품센터가 나서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각자의 협력과 공신력을 통한 편드 구성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정 부의장은 "정기관, 민간단체들이 일을 벌이면 나라가 도울 수 있다. 그런 단체가 모여서 펀드를 구성하면 가능하다"며 "해당 단체가 공신력이 있다면 10억을 모으면 10억을 보태 20억을, 100억을 모았다면 100억을 보태 200억원으로 만들어줄 수 있다"고 개념을 소개했다.

정세현 부의장은 "약 문제는 생사에 관여된 문제"라며 "여러분들(희귀필수약센터 등)이 이 부분에 대한 정상이고, 단체 간 연계는 물론 민간단체도 함께 가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