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이제는 만성질환인 ‘골다공증’에 정책적 관심이 높아져야 한다고 제기됐다.
골다공증은 골절 시 사망률이 2배~10배 증가할 만큼 위험하지만 증상이 없어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조용한 도둑’이라고 불린다. 즉, 환자들의 치료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골다공증 환자의 10명 중 4명은 의료 서비스 이용조차 하지 않으며 전체 골다공증 환자 중 여자의 35.9%, 남자의 16.2%만이 약물 치료하고 있다. 또한 골절 발생 후 1년 내 약물 처방률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다가도 80세 이후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 같이 골다공증 치료율 감소가 나타난 건 ‘제도’의 문제점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30일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개최된 대한골대사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고령화사회 골다공증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건국의대 정형외과 김태영 교수는 “미국학회에서는 검사 시 장기적인 간격을 두고 골다공증 환자를 관찰하는 것이 좋다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며 “골밀도 검사 간격 조정하면 사회경제적으로도 비용을 줄이고 치료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골감소증 65세 이상 환자 경우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오히려 쓰지 않는 환자보다 좋다는 연구가 있었다. 또한 골밀도 검사 시 T-score 2.5을 기준으로 조금 나아졌다고 급여적용불가는 말이 안 된다”며 “고위험성 골감소증 환자에 대해 약제 급여가 개정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계명의대 내분비내과 조호찬 교수는 “고령의 경우 조금만 나아졌다고 생각해도 약복용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급여적용을 받다가 기준을 벗어나서 복용을 중단하는 사례도 많다. ‘신약’ 중에선 복용하다가 갑자기 중단시 더 심각한 골절률이 발생하는 약제도 있어 이 기준에 대해선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무엇보다 골다공증의 예방치료적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장 김영택은 “좋은 치료나 좋은 약제가 골다공증의 치료 촉진에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이 역시 사회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것은 마찬가지다”며 “커뮤니티케어와 같은 네트워크 사업을 구축해 지속치료하고 더 나아가 미리 예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끝으로 대한골대사학회 정호연 이사장은 “고령화 질병문제가 큰 이슈인 만큼 만성질환으로서 골다공증이 좀 더 중요하게 다뤄지길 바란다”며 “정부와 의료전문가가 함께 정책개발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생기도록 학회에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