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케어 노인선도사업 연내 8개 지자체 추가
복지부 지자체 간담회…기존 커뮤니티케어 + 노인선도 8곳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5-09 15:44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노인 선도사업(이하 선도사업) 지역으로 추가 선발된 8개 기초자치단체(이하 ‘지자체’) 관계자와의 합동 간담회를 9일 보건복지부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8개 지자체는 부산 북구‧, 부산 부산진구,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남양주시, 충북 진천군, 충남 청양군, 전남 순천시, 제주 서귀포시이다.

커뮤니티케어는 지난 4월 4일 총 16개 지자체를 선정하여 8개 지자체(노인5, 장애인2, 정신1)는 6월부터 선도사업 추진 실시한다.

여기에 추가로 상기 8개 노인 선도사업 지자체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준비해 연내 총 16개 지자체가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개최된 합동 간담회는 지난 4월 선도사업 공모 심사에 선정돼 노인 중심으로 선도사업을 준비 중인 8개 지자체의 부단체장, 보건소장 등의 관계자 70여 명과 함께 노인 선도사업 추진방향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마련됐다.

복지부는 8개 지자체에 선도사업 수행을 위해 대상자별로 선도사업 모형을 구체화하는 실행계획서 마련 등 지자체에서 사전에 준비할 사항을 안내했다.

또한 보건복지부 관련부서와 국민건강보험공단 그리고 선도사업 지자체 간의 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한편 보건의료, 주거, 사회복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컨설팅단'을 운영해 8개 지자체의 선도사업 수행을 다각도로 지원할 계획을 함께 제시했다.

여기에 경기도 부천시의 노인 선도사업 모델을 소개하면서 전담조직 설치, 돌봄정책 대상자 모델 설정, 모델에 따른 서비스 구성 방안, 모니터링과 평가 방법 등을 추가로 선정된 지자체에 공유했다.

 8개 지자체는 중앙정부의 조속한 예산 확보 추진과 전담 조직 설치를 위한 인력 배치 등 보건복지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건의했다.

한편, 지난 2월부터 3개월 간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그리고 보건의료계 전문가와 함께 논의중인 '빅데이터를 활용한 집중형 건강관리사업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지자체 보건소장 등 지역 보건의료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했다.

건보공단의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추가 선정된 선도사업 지역에서 집중형 건강관리가 필요한 노인 대상자를 발췌하기 위한 유형과 기준(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복지부 배병준 커뮤니티케어추진본부장 겸 사회복지정책 실장은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사업은 지역 주도, 중앙정부 지원, 민관 협력, 다직종 연계의 4대 원칙에 따라 추진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지역사회에서 주거·보건의료·돌봄·요양 등의 분야에서 민·관의 다직종 전문가들이 대상자를 중심에 두고 협력할 수 있도록 필요한 법·제도의 틀을 마련하고 다직종 전문인력 교육과 기반 구축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 실장은 또한 "추가로 선정된 노인 선도사업 8개 지자체가 빠른 시일 내에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오늘 참석한 지자체와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성과를 거두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