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지출보고서 현황점검 '완전정복' 나서
미응답사 포함 2차 설문…제약 741곳 · 의료기기 4,856곳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5-07 06:00   수정 2019.05.07 07:01
복지부가 미응답 제약·의료기기 업체를 대상으로 재설문을 실시하면서 지출보고서 모든 현황점검 파악에 나섰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8일부터 6월 24일까지 '경제적이익 지출보고서 작성 관련 설문조사'를 추가 실시(2차 설문)한다고 밝혔다.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업자·수입업자는 의료인 등에게 제공한 경제적 이익등 내역에 관한 지출보고서를 작성하고, 지출보고서와 관련 장부 및 근거자료를 5년간 보관해야 한다.

복지부는 지난해 9월 지출보고서 작성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자문단을 구성하고, 12월부터 지출보고서 작성 및 준비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조사(1차)를 실시했는데, 미응답한 업체를 대상으로 재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1차 설문에서는 의약품 제조·수입사 239개사 중 209개사가 응답(30개사 미응답)했으며, 의료기기 제조·수입사 1,594곳 중 686개사가 응답(908개사 미응답)했다.

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 확인 결과, 2차 설문조사에서는 지난번 미응답사를 포함해 의약품 제조수입사 741곳, 의료기기 제조수입사 4,856곳이 대상이 된다.

복지부 약무정책과 관계자는 "설문조사 항목은 1차 설문조사와 미세한 어구조정 외에는 동일한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2차 설문조사에서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설정했다"며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5월 8일부터 의약품 업체(http://naver.me/5ycNswJU)와 의료기기 업체(http://naver.me/xKG9RlMY)는 각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설문에 참여할 수 있다.

다만 1개 IP당 1회만 제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이번 2차 점검은 제약사보다 의료기기사에게 좀더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업계의 경우 1차 설문에서 90%(작성중 88.5%, 작성예정 1.5%)가 응답하는 등 양호한 결과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또한 CSO가 있는 제약사의 90% 이상이 영업대행 내역을 지출보고서 작성에 포함하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정보 공유·리베이트 예방 교육을 명시한 곳도 73.8%에 해당됐다.

반면, 의료기기사는 1차 설문 응답 업체가 686곳으로 43%에 불과했고, 총판 대리점을 두고 있는 의료기기업체 10% 정도만이 영업대행 내역을 지출보고서에 포함해야 하는 것을 인지했으며, '정보 공유 의무'를 명기한 곳 5%, '리베이트 예방교육 실시' 명시 2.6%에 불과했다.

이와 관련 약무정책과 관계자는 "2차 설문에도 미응답하는 업체에 대한 후속조치와 지출보고서 무작위 업체선정 확인은 설문조사 응답 결과 확인 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