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백신정책 '수급 안정화·공공백신센터 건립 본격화'
질병본부 2019년 업무보고…공공백신 연구개발·인프라 확보도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3-18 14:19   수정 2019.03.18 14:28
질병관리본부가 올해 백신수급 안정화를 위한 현물비축·총량구매와 공공백신센터 건립에 박차를 가한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사진>은 18일 오전 국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9년 질병관리본부 업무보고'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정은경 본부장은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고도화 △선제적·포괄적 결핵관리 강화 △다부처 협력을 통한 감염병 대응 강화 △필수예방접종 확대 및 예방접종대상 감염병 대응 강화 △희귀질환 지원 확대 및 만성질환 예방·관리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 강화 △보건의료 R&D 및 연구인프라 강화 등 크게 7개 분야를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간다.

업무보고 중 백신 분야를 살펴보면, 백신 수급 안정화를 위해 결핵백신(피내용 BCG) 등을 현물비축하고, 백신의 안정적 물량 확보 및 적기 공급을 위해 소아 폐렴구균 백신, 결핵백신(피내용 BCG) 총괄구매 대상을 확대한다.

또한 수급불안 요소를 조기 인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백신수급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연구개발에서도 결핵환자의 치료개선, 조기발견 및 예방을 위한 획기적인 결핵 진단제, 치료제 및 차세대백신 개발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결핵백신 후보물질 개발 기반 연구 및 후보물질 실용화를 지원하고, 신규 치료제 개발 ·지원을 위한 결핵 코호트 및 결핵 퇴치연구단을 운영하며, 차세대 결핵균 유전형검사법 구축 및 분자역학 감시체계 도입으로 결핵 대응능력을 강화한다.

차세대결핵백신 뿐만 아니라 3세대 두창백신, 지카백신 및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공공백신 인프라를 확보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특히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건립(2018년 12월 착공, 2020년 10월 완공예정)하고, 운영방안(2019년 공공백신 개발지원센터 운영규정 마련) 등 사업계획을 추진중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