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약제·치료재료 사후관리 및 DUR 강화 나선다
김승택 원장, 2019 업무계획 보고…유통거짓보고·가짜약·리베이트 조사도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3-13 14:54   
심평원이 약제·치료재료 사후관리와 함께  DUR 강화 및 일련번호 보고제도 정착에 나선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 김승택 원장<사진>은 13일 국회 업무보고에서 '2019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업무계획을 보면, 심평원은 평가결과 연계 보상의 일환으로 의약품 사용량 감소 및 저가구매 기관에 대해 장려금을 지급한다. 지난해에도 6,378개소에  442억원의 장려금을 지급한 바 있다(약품비 1,910억원 절감 효과).

특히 약제·치료재료 사후관리에 나서 유통질서를 문란하게 하는 약제 및 특허만료의약품 등 상한금액을 인하한다(지난해 약품비 1,365억원 절감).

최근 3년간 청구실적이 없는 품목 약 5,800개의 급여중지도 함께 검토한다.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및 감염병 관리 강화도 계획돼 있다.
올해 2월부터 DUR 제도의 질적 향상 및 비용보상 필요성·방법 등을 연구하고 있고, 연구결과가 도출된 추가행위 모형 반영한 시범사업에 나선다.

급여 한약제 동일성분 중복 등 한방기관 DUR점검 프로그램 개발 검토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환자 안전관리도 나서, 질병관리본부에는 메르스 등 감염병 정보 제공으로 의료현장 감염의심증상 환자 격리 등 초동대처를 지원한다.

대한적십자사에는 헌혈 금지약물 복용자 정보 제공으로 부적절한 혈액 유통 및 수혈 사전예방을 지원하며, 식약처에는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마약류 의약품 해결을 위해 DUR 시스템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간 정보 연계를 추진한다.

국군병원에는 군병원 투약내역 연계로 군인가족, 임신 여군 등 민간 병원 이용 시 DUR 점검을 활용한다.

일련번호제도 등 의약품 유통 관리 체계 선진화를 위한 노력도 함께 한다. 일련번호 보고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의약품 유통업체 및 유관단체 소통을 통한 일련번호 보고율을 향상시킨다.

또 의약품 유통정보를 활용 확대·강화해 위해의약품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 공유 체계 구축하고(정부·지자체 등), 일련번호를 활용한 의약품 안전성 확인 App서비스 개발 및 제공하며(대국민), 유통내역 거짓 보고, 가짜약·리베이트, 공급가 조작 등 의심업체 조사 강화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