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신산업 전략적 투자확대를 위해 유전자·세포치료제 R&D가 예비타당성 추진중이라고 소개됐다.
국회에 계류된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법에 대한 추진의지와 러시아·CIS 민관사절단, 제약바이오 채용박람회 연례화 등 정책이 함께 추진된다.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
<사진>은 13일 국회 본청 귀빈식당에서 개최된 '국회지구촌 복지포럼(대표의원 더불어민주당 전혜숙)'에서 '2019년 보건복지 정책방향'을 설명했다.
강연 자료에 따르면, 빅데이터 활용 기반 구축을 위해 올해 59억원 예산을 통해 보건의료 공공기관간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을 구축하고, 데이터 기반 공익 연구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암 정밀의료 진단과 치료법 개발을 위해 암환자 유전체 프로파일링을 추진하며, 클라우드 기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를 개발한다.
특히 인체세포 활용 재생의료 분야에서는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등 R&D를 확대할 계획으로,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한다.
2018년 8월에 발의된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에 관한 법률'을 통해 재생의료 임상연구를 위한 법률 제정도 함께 추진한다.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 러시아, CIS국가에는 민관협력 사절단 파견과 인허가 담당자 초청연수를 계획하고 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는 '해외의료기기 종합지원센터'를 운영해 현지 인허가·마케팅·시장조사·A/S를 지원한다.
바이오헬스 산업 특화 펀드 및 기술이전 지원도 확대해 지난해 10월부터 5년 내 초기 기업 중심 '보건산업 기술창업펀드' 투자를 개시했으며, 올해에는' 개방형 실험실(Feild lab)'을 설치해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연구소 등과 공동연구를 지원한다(40억원 규모).
지난해 7월 발족된 '헬스케어 오픈이노베이션 협의체'와 지역 바이오헬스 클러스터-지방거점 병원 연계,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기업 자격요건 등 기준 강화도 소개됐다.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도 계속돼, 청년-제약·바이오기업 일자리매칭 등 취업연계 지원이 이뤄진다.
지난해 9월 처음 개최된 '제약·바이오산업 채용박람회'를 정례회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장에 바로 투입가능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오송 첨복단지 내 실습장을 구축하고, 의약품 품질관리 등 연 200명 교육도 소개했다.
융합형 의과학자 양성을 위해 올해 10억원 예산으로 수련전공의 대상 교육과정 및 전문의 대상 학위과정을 운영하고, 병원에서 연구하는 의사 양성, MD-Ph.D 협업 연구·사업화를 추진하고, 글로벌 혁신인제를 위한 의료기기(2개)·제약(3개) 특성화대학원 운영 등도 함께 지원된다.
박능후 장관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이뤄지는 가운데, 국민의 바람은 지속성장·빠른성장으로, 그래서 저는 이것이 하나의 위기이자 기회라고 본다다"며 "선진 바이오 의료기술을 활용한다면 신성장 동력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