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혁신형 기업 R&D 1.7조원 투자 기대"
매출액 목표도 13조원으로 8.9% 증가 전망…세제 등 정부지원 약속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2-13 08:17   수정 2019.02.13 11:09
복지부가 올해 혁신형 기업이 1조7,617억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13일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에 따르면, 인증하고 있는 혁신형 제약기업 47개사 중 정보 공개에 동의한 43개사의 2019년 신약 연구개발(R&D) 투자액은 1조7617억 원으로 2018년 1조4315억 원 대비 약 23.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혁신형 제약기업의 2019년 매출액 목표도 13조1856억 원으로 2018년 12조1033억 원 대비 약 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도 혁신형 제약기업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앞두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47개 혁신형 제약기업 중 43개 기업의 2019년도 사업계획 등을 분석한 결과이다. 

사업계획 중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R&D 분야에서 CJ헬스케어는 2018년 개발한 케이캡 적응증 추가 임상3상, SK케미칼은 리넥신정(만성동맥폐색증 치료제) 임상 3상, 유한양행은 레이저티닙 글로벌 임상 3상 등 혁신․바이오신약, 개량신약, 바이오시밀러 등을 개발하기 위한 비임상·임상(1~3상) 등에 연구개발비를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해외진출 분야에서는 새로운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미국, 유럽, 아시아, 중남미 등 현지법인 설립 및 지원 확대, 다국적 제약사와 협력 강화, 해외 기술수출 제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혁신형 제약기업 CEO들은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국가 R&D 지원' 및 '해외 임상시험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신속한 임상시험 승인과 신약 품목 허가' 등을 요청했다.

이에 복지부 강도태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제약산업을 혁신성장 선도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가 R&D 지원 및 해외 임상 세액공제 등을 확대하고, 신약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 신속 심사제 도입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혁신형 제약기업의 건의사항 중 "올해 중에 추진 가능한 사안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오는 3월에 발표 예정인 '2019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에 포함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