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장관이 다국적사(글로벌제약사) 독점횡포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5월 WHO에서 특별 세션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
<사진>은 지난 22일 전문기자협의회와의 간담회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박 장관은 지난해 5월 제네바에서 열린 제71회 WHO총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에서 보편적 건강보장 달성을 위한 '의약품 접근성'을 강조했으며, 일부 다국적 기업에서의 국민생명을 담보로한 무리한 가격협상에 대해 WHO 차원에서 공동해결을 촉구한 바 있다.
같은해 11월 개최된 제11차 한·중·일 보건장관회의에서도 의약품 공급 중단 위기 및 신약의 적정약가 책정을 위한 공동대응을 강조했으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도 다국적 제약기업 대응 의지를 피력했다.
그러나 1월 16일 WHO간 국가협력전략 체결에서는 보건의료 전반에 대한 협력계획이 포함됐지만 다국적 제약 공동대응 계획은 명시되지 않았던 것이다.
박능후 장관은 "취임 후 업무 95%가량은 보고받고 개선되거나 좋은 상황이 유지됐는데, 개선이 되지 않고 있는 문제 중 하나가 다국적사 약가 독점횡포"라며 "이는 뿌리도 깊고 국제적인 마케팅시장을 갖고 있어 우리나라가 1:1로 대응하기 한계가 있다"고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어 "올해에도 WHO·UN·OECD 등 국제기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적 약가, 의약품 접근성 강화 등을 위한 정책대화 실시, 다자토론 개최, 구체적 실행방안을 담은 보고서 작성 참여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으로 오는 5월 WHO 총회에서 준비 중인 계획을 소개하기도 했다.
박 장관은 "WHO 총회에서는 원하는 국가가 특별세션을 만들 수 있다. 세션당 참가하는 장관이 20명 내외로, 자료 기반으로 토의하며 논의를 이끌어 가는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적어도 유럽의 1~2곳을 포함해하는 특별세션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렇게 단계별로 각국에서 독과점하는 의약품과 피해 상황을 확인해 자국만의 대응으로 부족하다면 연대하자고 제안하는 등 이를 위한 국가적 대응을 논의하려 한다"며 "처음에 시큰둥했던 일본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는 등 5월 WHO 회의에서 어느정도 진전되지않을까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