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가원이 처음으로 환자경험을 반영한 병원평가에 대해 선호하는 영역별로 점수를 확인·활용해볼 것을 제안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운영실 노민양 차장은 지난 9일 심사평가원 서울사무소에서 진행된 '제1차 환자경험평가결과'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설명했다.
노 차장은 "이번 결과는 최초로 환자가 직접 참여한 의료서비스 환자경험 평가결과로, 환자중심 의료서비스 제공에 의미 있는 첫 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의료계, 환자·소비자, 학계와 함께 지속적으로 보완하면서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환자들은 이번 평가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 활용해야 할까?
이에 대해 노 차장은 "환자들마다 중요하게 여기는 경험이 다를 것"이라며 "가령 투약·치료과정이 중요한 환자라면 그 점수가 높은 병원이 환자가 원하는 병원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존의 의료질 평가가 진료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것이었다면, 이번에는 정말 환자 목소리가 현장에 피드백 됐기 때문에 그 자체가 의미가 크다"고 정책적 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했다.
노민양 차장은 환자평가 결과에 '약사 역할'이 직접 명시되지 않은데 대해서는 배제된 것이 아니라, 투약 및 치료관리 영역에 포함됐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노 차장은 "약사 서비스를 별도로 제외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이번 평가 대상이 전반적으로 입원 서비스에 대한 평가였기 때문에 주로 의료서비스가 이뤄지는 분야가 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투약 및 치료과정에 대해서는 전체 직원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약사를)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공개된 평가에 대해 심사평가원은 별도의 점수 순위를 매기지 않았는데, 사회적 합의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노민영 차장은 "이번 평가결과에서는 점수종합화를 하지 않기로 사회적 합의를 했다"며 "각 언론에서 시각에 따라 원 자료를 활용할 수는 있겠지만, (정부에서) 어느 영역이 중요하다, 아니다를 임의로 판단하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