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 처장 “일본산 식품 정밀 검사, 안전하다”
식약처 국감서 방사능 검사 문제 질타 “국민 불신 깊다”
최재경 기자 cjk0304@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3-10-21 12:36   수정 2013.10.21 13:35

정승 식약처장이 일본산 수입식품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타에 “안전하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정승 처장은 “일본산 수입 식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정밀하게 실시하고 있다” 며 “식탁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에 안심해도 좋다”고 강조했다.

21일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일본 원전사고에 따른 일본산 수입식품에 대한 식약처의 대처가 '미흡하다'는 질타가 이어졌다.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 “훗카이도와 도쿄도 수입금지 지역에 포함시켜야한다”며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수입이 금지된 일본의 8개 현의 방사능 검출 검수보다 훗카이도에서 수입된 수산물의 건수가 무려 3배나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수입금지 조치된 8개 현의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출 건수는 모두 21건인데 반해, 훗카이도 수입산은 67건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민주당 이목희 의원은 “원전사고로 방사능 오염 물질은 100여종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세슘과 요오드 2개의 핵종에 대해서만 검사하고 있다. 극히 미량이어도 인체에 더욱 해로운 플루토늄과 스트론튬 등 기타 핵종에 대한 검사를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미국, 유럽 등이 2가지만 하고 있다고 하지만 일본과 인접한 우리의 현실은 다르다고 식약처의 검사 현황을 질타했다.

민주당 김성주 의원은 “원전사고가 있었던 일본 후쿠시마와 그 인근 8개현의 수산물은 지난 9월 6일부터 모든 품목을 수입금지 조치 됐으나 삭품의 수입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식약처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방사능 위험이 높아 수산물은 전면 수입 금지된 일본 8개현에서 수입된 가공․원료 식품은 최근 3년간(13년 8월까지) 8,912톤이나 된다. 문제는 식약처가 방사능 검사 결과 ‘적합’으로 판정을 내면, 기준치 이하의 수치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권이 보장되지 않다고 질타했다.

김희국 의원은 “식약처가 안전하다는 발표에도 국민들의 불신은 높다. 신뢰를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가공식품 및 원료식품에 대한 표시기준을 개선하여 모든 성분에 대한 원산지 표시 의무제를 실시할 것”을 요구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