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10년간 출원된 제약 신기술 분야 특허가 1.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보건산업브리프 412호 ‘제약산업 분야 신기술 특허 동향’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산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출원된 제약 신기술 분야 특허는 총 4만1948건으로, 2012년 3119건에서 2021년 4850건으로 1.5배 이상 증가했다. 다만 2012~2016년 구간 대비 2017~2021년 구간의 연평균 증가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 관련 특허는 총 3만3178건으로 제약 신기술 분야 전체 특허의 79.1%를 차지했으며, 2012년 2609건에서 2021년 3823건으로 1.5배 늘었다. 신기술 의약품 제조 및 서비스 관련 특허는 총 8770건으로 2012년 510건에서 2021년 1027건으로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 관련 특허 건수는 미국특허청(USPTO)에서 가장 많았으며, 증가율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기술 의약품 제조 및 서비스 관련 특허도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과 비슷한 양상으로 USPTO에서의 특허 건수가 가장 많았고, WIPO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 관련 특허는 한국 국적 출원인의 연평균 증가율이 12.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중국 국적 출원인의 연평균 증가율이 8.8%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최근(2017~2021년) 5년간의 한국과 중국 국적 출원인의 증가율이 타 국가 출원인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기술 의약품 제조 및 서비스 관련 특허는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특히 한국 국적 출원인의 2012~2016년 구간 대비 최근 5년간 증가율이 21.2%로 타 국가 출원인 대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일본 국적 출원인의 2012~2016년 구간 대비 최근 구간의 연평균 증가율은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 관련 특허의 주요 상위 출원인은 하버드대학교, 필립스, 캘리포니아대학교, 스탠포드대학교, 일루미나 등 미국 연구기관(대학/연구소)과 유럽 국적 기업이 다수인 것으로 확인됐다.
신기술 의약품 제조 및 서비스 관련 특허의 주요 상위 출원인은 소니, 캘리포니아대학교, 필립스, 로슈, 올림푸스 등 일본‧미국의 연구기관 및 기업이 다수로 나타났다.
한국의 주요 출원인 중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 관련 특허는 한국과학기술원(64건), 신기술 의약품 제조 및 서비스 분야 특허는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11건)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산진은 현재 제약 신기술 분야 특허는 아직 특허 수가 많지 않고, 진입장벽이 낮은 성장단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보산진 관계자는 “최근 제약 신기술 분야 특허가 증가세를 보이면서 향후 특허 영향력과 경쟁력 또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양질의 데이터 구축을 포함한 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 마련과, 현장에서 필요한 다학제적 연구가 가능한 인력양성 지원 등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01 | 에이비엘바이오-아이맵, 국제 유수 학술지에... |
02 | 인트론바이오, 그람음성균 타깃 엔도리신 신... |
03 | JW홀딩스, 창립 80주년 맞 ‘모두가 건강 안... |
04 | 건일제약, 문희석 공동 대표이사 선임 |
05 | 보령-삼성바이오에피스, 골질환 치료제 ‘엑... |
06 | 지노믹트리 ‘얼리텍-B 검사’, 상부요로상피... |
07 | 온코닉테라퓨틱스,'자큐보정' 비미란성 위식... |
08 | 알피바이오,프로바이오틱스-기능성 오일 결... |
09 | 쎌바이오텍, ‘듀오락 CBT 유산균’ 만성콩팥... |
10 | "기술거래 부르는 ADC 따로 있다" 리가켐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