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92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으며,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싱가포르 자회사 연결 편입 효과와 미국·호주·싱가포르 등 글로벌 헬스케어 네트워크 성장이 매출 확대를 이끌었다.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45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유전체 분석,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DMO, 면역세포 및 줄기세포 보관 등 핵심 바이오 사업 부문이 고르게 성장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손실은 413억원이다. 차바이오텍과 종속회사들의 글로벌 헬스케어사업 인프라 투자와 주요 파이프라인 연구개발에 투자 등으로 전년대비 손실이 확대됐다. 당기순손실은 1,114억원으로,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화평가손실, 차바이오텍 및 종속회사 발행 증권에 대한 공정가치 평가 등 현금 유출이 수반되지 않는 외부 시장 요인에 따른 비용 증가가 요인이다.
별도재무제표 기준 영업손실은 자가 항암 자연살해(NK) 세포치료제 ’CHANK-101’, 동종 탯줄유래 무릎 연골결손 세포치료제 ’CHAMS-201-CD’ 등 주요 파이프라인의 R&D투자로 40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301억원이다. 발행 증권에 대한 공정가치 평가, 회계상 이자 등 현금 유출이 수반되지 않는 비용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차바이오텍은 연구·임상·제조를 하나로 통합하는 세포·유전자치료제(CGT)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는 글로벌 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프로젝트 수주를 확대하고 있고,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하게 될 ‘CGB(Cell Gene Bioplatform)’ 구축도 마무리 단rP다. CGB는 CGT CDMO(위탁개발생산) 시설, cGMP 제조시설,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바이오뱅크, 첨단 연구설비, 벤처·스타트업을 위한 공유 오피스 등 바이오산업 전반 핵심 인프라를 갖출 예정이다.
정부의 줄기세포 치료 규제 완화로 첨단재생의료 파이프라인의 임상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차바이오텍은 분당차병원과 협력해 ▲간암 등 다양한 고형암을 대상으로 자가 유래 항암 자연살해(NK) 세포 치료제 ‘CHANK-101’ ▲자가 지방 줄기세포 난소노화 치료제 ‘CHAUM-101’ ▲2세대 암 반응성 종양침윤림프구(tumor-infiltrating lymphocyte; TIL) 세포치료제인 'CHATIL' 등 파이프라인의 첨생법 임상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차바이오텍은 2014년 일본에 진출해 일본 토탈셀클리닉 도쿄(TCC TOKYO)에서 지금까지 1만건 이상의 환자 치료 경험을 쌓았다. 현재 암환자를 위한 면역세포 치료와 당뇨병·만성통증 환자 대상 줄기세포 치료를 시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