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크 3조·릴리 7조·AZ 6조…미국 바이오 제조 CAPEX 폭발
버지니아에 제조 CAPEX 집중…州 정부 Life Science 중점 유치
릴리·AZ 이어 머크까지…대형사, 美 내재화 속도전
관세 리스크 대응 + 공급망 재편…미국 내 생산 회귀 가속
최윤수 기자 jjysc022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10-21 06:00   수정 2025.10.21 06:01

머크(Merck, MSD)가 미국 버지니아주 엘크턴(Elkton) 캠퍼스 내에 30억 달러(약 4조 500억 원)를 투입해 소분자 의약품 생산 거점 신설에 착수했다. 

엘크턴 부지는 이미 가다실 생산력 확충을 위해 약 10억 달러 규모 확장을 완료한 이력이 있으며, 동일 주(州) 내 추가 투자라는 점에서 제조 내재화 기조가 강화되고 있다. 이번 신설 설비는 제조(활성약물성분·완제)와 시험 기능을 한 지붕 아래 집약하는 형태로 설계되며, 완공 시 500명 이상의 신규 고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공개됐다.

머크 사례는 독립적 이벤트가 아니라 버지니아 내 제조 CAPEX(자본적 지출) 집결 흐름의 일부로 나타난다. 

일라이 릴리(Eli Lilly)는 리치먼드(Richmond) 인근 부지에 50억 달러(약 6조 7500억 원) 규모의 API 공장을 착공했으며,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버지니아대학교 인접 지역에 45억 달러(약 6조 750억 원)를 투입해 대형 생산시설을 건설 중이다. 세 기업의 공개액만 합산해도 125억 달러(약 16조 8750억 원)로, 단일 주(州) 내 다중 빅파마 설비가 동시적으로 구축되는 사례는 이례적이다. 버지니아 주정부는 투자 발표 시점마다 전면에 등장해 Life Science 우선 유치 전략을 표방하고 있으며, CAPEX 밀집이 지역 단위 정책과 결합된 구조라는 점이 확인된다.

미국 내 제조 확충 기조는 머크·릴리·아스트라제네카를 넘어 로슈, 존슨앤드존슨, 사노피, 노바티스 등으로 확산돼 있다. 

이들 기업은 구체 금액을 모두 공개하지 않았으나, 동물약·백신·바이오제제·메드텍까지 포트폴리오 전 범위에서 생산 거점 확대 계획을 연속적으로 발표했다. 일부는 동일 그룹 내부 품목군을 서로 다른 주에 분산해 리스크를 계층화하고, 다른 일부는 중복 생산선을 동일 주에 눌러 배치해 납기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식으로 배치 논리를 달리했다.

투자 공표 시점이 2024~2025년에 집중되는 현상은 공급망 회복탄력성, 지정학 불확실성, 전력·인력·토지 비용의 조기 고정 니즈, 미국 내 첨단 제조 인센티브 정책의 유효 기간이라는 4개 축이 동시에 겹친 결과로 해석된다.

관세 변수는 기업들이 공식 설명에서 전면 배치하지 않는 보조 요인으로 기능하고 있다. 미국 행정부가 수입의약품에 대해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을 공개 언급한 바 있으나, 기업들은 이번 CAPEX를 관세 회피 목적이라기보다 공급 안정성 확보·현지 가동속도 앞당김·정책 인센티브 기간 내 집행이라는 “실행 논리”로 제시하고 있다.

다만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은 장기 조달 계약, 설비 배치 순서, M&A 구조 설계 등 후속 의사결정 레이어에는 영향을 미칠 잠재요인으로 남아 있다.

향후 관측 포인트는 첫째, 현재 공표된 설비들의 실제 CAPEX 지출 속도가 예산·공정계획 대비 변동 없이 유지되는지 여부, 둘째, 버지니아 단일 주 집중이 인력·전력·허가 수용능력 한계에 어느 시점에서 부딪히는지, 셋째, 미국 외(유럽·아시아) 지역에서 2차·3차 분산 투자 신호가 추가로 등장하는지, 넷째, 품목군별 생산지도(백신·항암·메드텍·동물약)가 어떤 순서로 재편되는지, 다섯째, 관세·세제 등 정책 변수 업데이트가 향후 설비 재배치 논리를 다시 한 번 조정하게 만드는지 여부다.

공표 라운드가 끝난 직후인 지금 시점에서 이미 미국 내 CAPEX는 “단일 사건”이 아니라 “연속 전개 중인 구조 전환”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활성화된 설비가 2025~2027 사이 순차 가동에 진입할 경우 글로벌 제약 공급망은 분산형·중첩내재화 모델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