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5일 시행…“업무부담 없이 자동 전송”
대한약사회, 20일 ‘실손24’ 약국 적용 브리핑…정보보호·비용 우려 해소 강조
약제비 영수증만 암호화 전송…약정원 청구프로그램 23~24일 업데이트 예정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10-21 06:00   수정 2025.10.21 06:01
대한약사회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노수진 총무·홍보이사가 약국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제도의 취지와 추진 경과를 설명하고 있다.

10월 25일부터 전국 약국에서도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제도가 시행된다.

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는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한약사회관에서 전문언론을 대상으로 브리핑을 열고, 실손보험 전산청구 시스템 ‘실손24’의 약국 적용 방식과 향후 운영 계획을 설명했다.

노수진 대한약사회 총무·홍보이사는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환자가 앱을 통해 직접 청구를 요청하면 약국의 청구프로그램에서 약제비 영수증이 자동 전송되는 구조”라며 “약국에서 별도의 클릭이나 서류 제출이 필요하지 않아 행정부담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실손24’는 보험개발원이 운영하는 전송대행 서비스로, 병원에서는 지난해 10월부터 이미 시행 중이다. 약국과 의원은 이번 달 25일부터 적용된다.

노 이사는 “약국이 청구를 대행하는 개념이 아니라, 환자 요청이 있을 때만 영수증이 암호화되어 보험사로 전송되는 자동 시스템”이라며 “약국은 진료 관련 정보가 아닌 금액 정보만 전달하게 돼 있다”고 부연했다.

또 “실손24 가입자는 187만 명에 달하며, 보험사별로 청구 서류나 지급 기준이 달라 환자가 청구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 제도 시행으로 환자 편의성이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약사회는 그간 정보보호와 행정부담, 시스템 유지·개발비 부담 문제 등을 이유로 의료계와 공동 대응하며 제도 도입을 신중히 검토해왔다.

노 이사는 “보험개발원에 전송되는 정보는 환자명, 요양기관명, 수진일자 등 최소한의 항목에 한정되고, 약국은 약제비 영수증만 암호화돼 전송된다”며 “약사사회가 우려했던 개인정보 유출 문제나 비용 부담 문제는 대부분 해소됐다”고 강조했다.

약학정보원은 약국 청구프로그램(PharmIT3000·PM+20)에 실손24 연동 기능을 탑재해 23~24일 중 업데이트할 예정이며, 프로그램 업데이트 후 ‘참여 동의’만 클릭하면 자동 전송이 가능하다. 유팜 등 일부 프로그램은 민간 핀테크 방식으로 연동한다.

참여 약국에는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0.2%p 감면(5년간)과 일반보험료 3~5% 할인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질 예정이다. 다만 ‘실손24’ 가입률이 아직 낮아 일정 기간은 종이 영수증 발급도 병행될 것으로 보인다.

노 이사는 “약제비 영수증 오입력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책임 문제도 제기됐지만, 이는 진료가 아닌 금액과 관련한 부분으로서 보험사 지급 과정에서 일부 조정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약국의 책임이 크진 않을 것으로 본다”며 “향후 개선책이 마련되면 회원들에게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자동전송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에 대해 회원들의 걱정을 충분히 이해하며, 시행 후 발생하는 문제는 실손보험 협의체를 통해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노 이사는 최근 의사협회가 운영 중인 대체조제 신고센터 고발 사례와 관련해 “대체조제가 아닌 처방변경 건으로, 실질적으로 문제될 사안은 아니다”라며 “내년 간소화 시스템이 마련되면 통보 절차로 인한 행정부담도 자연히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