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제약 관세 쇼크’, 글로벌 공급망 재편 신호탄
미국, 최대 100% 수입관세 검토…의약품 자국 생산 압박 본격화
영국· EU는 공공의약품 지출 확대 대응…한국 제약 수출에도 여파 우려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10-15 06:00   수정 2025.10.15 06:01
트럼프 행정부의 ‘100% 의약품 관세’ 방침이 글로벌 제약 공급망 재편의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 이후 의약품 수입품에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글로벌 제약산업의 공급망이 다시 한 번 요동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최근 글로벌바이오헬스산업동향 제568호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제약공장 설립을 유도하고 해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일환으로 ‘100% 관세 부과 정책’을 검토 중이다.

이 조치는 ‘미국 내 생산·미국 내 소비(America First Manufacturing)’ 기조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원료의약품(API)부터 완제의약품까지 전 단계의 리쇼어링(Reshoring)을 압박하는 내용이다.

업계는 이같은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의약품 시장의 수입 의존도는 현재 약 70%에 달하며, 특히 제네릭 원료와 중간체 대부분을 인도·중국 등에서 조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내 생산시설 확충과 함께 인도·중국 기업의 공급 우위가 약화되고, 한국·유럽의 원료의약품 수출 구조에도 연쇄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주요국들도 산업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방어에 나섰다.

영국은 최근 국민보건서비스(NHS) 의약품 지출을 전년 대비 11% 증액하고, 아일랜드는 바이오제약 생산라인 신·증설에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보고서는 “글로벌 제약공급망이 미국 중심으로 재편될 경우,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은 비용 부담 증가와 함께 산업 경쟁력 재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생산 활성화를 이끌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의약품 가격 인상과 공급 불균형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국 제약산업도 원료 다변화와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지 않으면,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수출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