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회사가 체결한 첫 번째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은 단순한 1호 계약 체결이라는 상징을 넘어 기존 계약 관행과 다른 혜택의 조건을 이끌어 낸 것으로, 미국 파트너사에게 mRNA 항암백신 특허 전 세계 전용 실시권을 넘기는 대가로 확보한 3천억 원 규모 마일스톤과 상업화 이후 15년간 10% 이상 세일즈 로열티만으로도 향후 최소 1조 3천억원 이상 수익이 기대된다고 4일 밝혔다.
여기에 더해 또 다른 수혜를 누릴 수 있는 계약 조건이 이번 계약에 합의됐다고 전했다. 사실상, 파트너사가 전임상부터 상용화까지 거의 모든 비용을 전담하면서, DXVX는 실질적으로 전임상, 임상 시험 및 생산 비용 부담이 거의 없다는 설명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딜을 통해 DXVX는 자체 개발한 mRNA 항암백신 파이프라인을 로우 (Low) 리스크로 관리하고 임상 개발을 진전 시킬 수 있다. 특히 마일스톤 수익은 매출 확대는 물론 DXVX 글로벌 임상 경험을 보다 풍부하게 하는 연구 자금으로 활용된다.
또, 이번 계약에는 임상 개발 중 제3자 서브라이선스 시 발생하는 수익 절반을 DXVX가 가져가는 조항이 포함됐다. 이는 계약서에 포함된 이중 수익 구조로 DXVX의 mRNA 항암백신이 본격적 임상 단계 진입 시 대규모 후속 딜의 수혜를 누릴 수 있는 파격적인 추가 수익 장치가 계약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DXVX의 다양한 mRNA 플랫폼 및 신약 파이프라인들에 대해 국내외 다국적 제약사와 논의 중인 상황에서 후속 계약을 이끌어 낼 임팩트를 던진 첫 단추다 ”며 “DXVX는 이미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 경구용 비만치료제, 항비만 마이크로바이옴, 뇌혈관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에 대해 다수 국내외 대형제약사들과 라이선스 아웃 프로세스를 진행중이다. 이번 미국 바이오테크사와 체결한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시작으로 연이은 라이선스 아웃 딜을 성사시켜 나간다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저위험, 고수익 구조의 라이선스 아웃은 회사가 글로벌 바이오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성패를 좌우하는 전환점”이라며 “첫 번째 계약을 발판 삼아 잇따른 파트너십과 기술료 수입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 무대에서 크게 존재감을 보이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