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 국가 투자‧책임성 강화할 것”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AI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성장 체계 구축 등 다짐
서면질의답변서에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 위한 정책적 노력 의지 언급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7-18 06:00   수정 2025.07.18 06:01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약업신문= 이주영 기자

배우자 주식 투자 의혹과 부동산 다운계약서 작성 등 각종 의혹이 꼬리를 무는 가운데,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의지를 밝혔다.

정은경 후보자는 최근 서면질의답변서를 통해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노력과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제도적 과제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서면질의를 통해 “경제성장은 물론 보건안보 차원에서도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은 중요한 국가적 과제”라며 “후보자의 견해는 어떠하며,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어떠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는지”를 물었다.

이에 대해 후보자는 “바이오헬스는 대한민국 성장을 이끌 핵심 동력인 동시에 팬데믹, 공급망위기 등 국가안보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성장 체계 구축 △유망 신기술 개발을 위한 보건의료 R&D 투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꼽았다.

후보자는 “제약바이오 투자를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제약바이오산업은 본격 글로벌 진입 단계로 빠르게 성장 중이며, 이제 글로벌 신약 성과가 창출되고 있는 만큼 국가가 더 과감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성장 체계를 구축하겠다면서 “AI 기술은 의료환경을 크게 바꿀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의료데이터 활용과 신기술 사업화에 난관이 많은 만큼 현장 체감도 높은 규제 혁신을 계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유망 신기술 개발을 위한 보건의료 R&D 투자 확대에도 힘쓰겠다”며 “초격차 기술 및 혁신 제품 확보, 위기 대비 및 난제 해결을 위해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 투자를 대폭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며, 신기술‧현장수요에 기반한 바이오헬스 융복합 인재 양성을 추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제도적 과제를 묻는 질문에는 ‘국가 투자와 책임성 강화’가 가장 필요하다고 밝혔다.

후보자는 “현재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가 운영 중인 상황으로, 지속 투자와 혁신 창출을 고려한 인증제도 개선 방안 마련이 공약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글로벌 신약개발 역량을 갖춘 제약기업 육성을 위해 신약 혁신가치 보상을 강화하고, R&D 투자를 유도하는 보상 체계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장관으로 임명되면, 산업계의 의견을 지속 경청해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후보자는 18일 열리는 인사청문회에서 배우자의 코로나 수혜주 투자 의혹과 부동산 위장전입, 다운계약서 작성 등에 대한 야당의 집중 공세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간사인 김미애 의원은 17일 “후보자가 이해충돌 여부를 검증할 배우자의 주식거래 내역 등 핵심 자료를 제출하지 않고 있다”며 “팬데믹 기간 ‘코로나 영웅’으로 불리던 후보자의 모습은 지금 의혹 앞에서 비겁하게 숨고 피하며 도망치는 모습만 남았다”고 비판했다.

김미애 의원은 “정은경 후보자 후임이었던 백경란 전 질병청장은 인사청문 대상이 아님에도 보유주식 관련 이해충돌 문제가 불거졌고, 주식 거래 내역 미제출로 고발까지 당했다. 결국 불명예 자진사퇴를 했다”며 “만약 정은경 질병청장 배우자가 당시 코로나 수혜주를 거래했다는 사실을 국민들이 알았다면 직을 유지할 수 없었고 장관 후보까지 오지 못했을 것”이라고 일갈했다. 이어 “국민 앞에 숨어 있지 마시라”며 “과거 정직하고 당당했던 방역영웅의 모습으로 제기된 의혹에 답하길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 역시 남편의 주식 보유와 관련, 후보자가 최소 두 차례 직무 관련성 심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최보윤 의원은 “직무 관련성 심사를 무시했다면 중대한 윤리적 흠결이자 공직자윤리법 위반 사항”이라며 “국민이 약국 앞에 줄을 서던 코로나19 때 방역 수장의 가족은 주가 그래프를 들여다보고 있다는 사실에 국민은 깊은 배신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심사를 제대로 받지 않은 정 후보자는 배우자의 투기 행위를 방조 또는 협조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같은 당 권성동 의원은 후보자가 과거 위장전입을 한 뒤 7년 가까이 주민등록을 고의로 옮기지 않았으며, 배우자인 남편이 아파트 구매 시 다운계약서를 작성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전체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