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터, 허리케인 피해 생산시설 연내 완전복구
美 NC州 수액제ㆍ투석액 제조라인 내년 초 풀-가동 재개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11-11 11:53   

박스터 인터내셔널社의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州의 소도시 노스 코브(North Cove) 소재 정맥주사용 수액제 및 복막투석액 제조시설은 지난 9월 24일부터 29일까지 남동부 지역을 강타한 허리케인 ‘헐린’(또는 ‘헬렌’)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와 관련, 박스터 인터내셔널社가 7일 허리케인 피해현황과 관련한 최신소식을 전하면서 연말까지 전체 제조라인의 복구를 마치고, 핵심적인 정맥주사용 수액제의 생산이 내년 초 완전재개(full capacity)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허리케인 ‘헐린’으로 인한 피해를 입어 지난 9월 말 폐쇄된 박스터 인터내셔널의 노스 코브 소재 정맥주사용 수액제‧일부 투석액 제조시설은 2,500여명의 임직원들이 재직 중인 가운데 미국시장 수요량의 60% 정도를 공급해 온 곳이다.

7일 박스터 인터내셔널 측에 따르면 2,500여명의 임직원들은 노스 코브 소재 제조시설로 복귀해 복구에 여념이 없는 상황이다.

이날 박스터 인터내셔널 측은 제 2 정맥주사용 수액제 제조라인이 차후 수 주 이내에 생산을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곳은 지난주 가동이 재개된 제조라인과 함께 노스 코브 제조시설의 전체 생산량 가운데 약 50%와 현지 제조 1리터 용량 정맥주사용 수액제 생산량의 85% 정도를 제조해 왔다.

미국 내 각급 병‧의원에서 가장 빈도높게 사용하고 있는 정맥주사용 수액제들이 바로 노스 코브 제조시설에서 생산하고 있는 제품들이다.

하지만 박스터 인터내셔널 측은 노스 코브 생산제품들의 운송이 재개되는 시점이 빨라야 오는 11월 말부터라는 점을 유념해 줄 것을 요망했다.

11월 말은 노스 코브 현지팀 뿐 아니라 회사 전체 구성원들과 FDA, 미국 보건부(HHS) 및 보건부 산하 질병예방대응본부(ASPR) 등이 빠른 생산재개를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는 만큼 당초 예상보다 앞당겨진 시점이라고 박스터 인터내셔널 측은 설명했다.

복막투석액과 관류용 멸균증류수 생산라인의 경우 오는 12월 초 가동이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박스터 인터내셔널 측은 이처럼 전체 생산라인이 연말까지 가동이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에측하면서도 현재로선 노스 코브 제조시설이 허리케인 ‘헐린’ 이전의 수준으로 완전복구되어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점은 전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 ASPR와 노스 캐롤라이나州 교통부의 지원과 자사의 현지팀이 기울이고 있는 헌신에 힘입어 두 번째 임시교량이 설치되어 7일자로 통행이 공식적으로 개시되면서 운송이 가능케 되었음을 환기시켰다.

첫 번째 임시교량의 경우 이미 트럭 1,000대 분량의 완제품을 운송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전 세계 곳곳에 소재한 자사의 9개 제조시설들이 생산량을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스터 인터내셔널 측은 아울러 일시적인 제품수입을 위한 협의에 들어간 가운데 정맥주사용 수액제와 관류용 멸균 증류수의 사용시한을 12개월 연장할 수 있도록 FDA의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제조일자로부터 24개월까지 유통이 가능케 되었다는 것.

유통시한의 연장은 지난 9월 말 이전에 제조된 분량에 한해 적용된다고 덧붙였다.

복막투석액의 공급과 관련, 박스터 인터내셔널 측은 환자 및 의사들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는 가운데 FDA가 일시적인 수입을 허가함에 따라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박스터 인터내셔널 재단(BIF)은 허리케인 ‘헐린’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현지의 임직원들과 지역사회를 지원하기 위해 400만 달러 이상을 희사했다.

400만 달러는 인보단체 3곳에서 지원받은 150만 달러와 ‘박스터 임직원 재난 구제기금’을 통해 마련한 250만 달러가 포함되어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