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가족돌봄‧고립은둔청년 전담지원 시범사업 공모
4개 광역지자체 선정해 2년간 시범사업 실시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2-21 06:00   수정 2024.02.21 06:00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올해 4월부터 내년 12월까지 新취약청년 전담 시범사업을 실시하고해당 시범사업에 참여할 4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新취약청년 전담 시범사업은 새로운 복지사각지대로 대두되는 가족돌봄청년과 고립은둔청년을 전담 지원하는 사업으로지역사회 내 전담기관((가칭)청년미래센터)을 설치해 통합(원스톱맞춤형으로 발굴 및 지원한다.

 

가족돌봄청년

부모님의 갑작스런 중증수술건강 악화 등으로 가족돌봄간병을 맡게 된 청()년 가구를 집중발굴 대상으로병원학교약국 등 관련 인력들과 전담인력 간 정기적 신고접수 체계를 구축한다.

기존의 전통적 복지대상자 선정방식인 소득재산 중심 기준이 아닌 아픈 가족과 청년의 돌봄 전담 여부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발굴선정한다

발굴 대상자에 대해서는 전담인력들이 청년의 가족돌봄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일상돌봄서비스 및 기존 장기요양장애인활동 지원 의료비지원 등 각종 정부 지원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연계하고, 이들 중 돌봄대상자의 정도기존 서비스 수급 여부 등을 종합 고려해 960명의 청년당사자들에는 연 200만원의자기돌봄비를 지급한다

시범사업 기간 동안가족돌봄청년 가구를 별도의 정책대상자로 규정하고장기요양간병돌봄의료비 지원 등 기존 지원 제도의 우선특혜 대상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자기돌봄비의 효과성확대 여부 등도 함께 검증할 계획이다.

 

고립은둔청년

온라인상 자가진단 및 도움요청 창구를 마련하고청년 대상 전담인력들이 대상자 고립도 정도에 적합한 돌봄 계획(케어 플랜)을 수립자기이해 자조모임이나 규칙적인 식사 같은 일상회복 활동당사자·가족 자조 모임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초기상담과 유형분류 등은 4개 지역이 공통의 기준으로 하되지역사회 청년 특성 등에 적합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 확보를 위해 센터별로 자체적으로 프로그램 기획이 가능토록 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현수엽 인구아동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들이 더 깊은 어려움에 빠지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찾아서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것이라면서이번 시범사업으로 전국시행 모델을 만들어어려운 청년들이 내일을 향해 다시 꿈을 꿀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역지자체에서 이번 시범사업에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