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2022 바이오헬스 엑설런스' 성료
'디지털, 바이오생태계의 새로운 물결’ 주로 열띤 토론 진행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10-13 10:08   

▲차상훈 이사장(왼쪽에서 아홉 번째)이 ‘2022 BioHealth Excellence’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차상훈, 이하 ‘KBIOHealth’)이 지난 12일 충청북도 C&V센터에서 ‘2022 BioHealth Excellence’를 개최하고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디지털, 바이오생태계의 새로운 물결’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기조연설Ⅰ 신약 세션에서는 테라젠바이오 백순명 연구소장의 Personalized Cancer Therapy 발표를 시작으로, 인공지능과 신약개발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김상현 교수가 좌장을 맡아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 예측 및 디자인, 딥러닝 기반 약물 설계, 차세대 인공지능 기반 신약 개발 전략을 주제로 토론했다.

동시에 개최된 디지털헬스 이노베이션Ⅰ에서는 동국대학교 의료기기산업학과 김성민 연구교수가 좌장을 맡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정책 및 규제 동향,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산업의 현주소 및 미래전망,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소프트웨어 밸리데이션을 발표하며 디지털 헬스케어를 주로 다뤘다.

아울러 기조연설Ⅱ 의료기기 세션에서는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 허영 부이사장이 뉴노멀을 선도하는 스마트의료기기 R&BD 전략을 발표했다. 이어진 두 번째 Session 1, 2에서는 데이터기반의 공정개발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상용화지원센터 이은교 센터장이 좌장을 맡아, 비콘을 이용한 효율적 생산세포주개발, Mechanistic modeling in downstream process development, 데이터 분석 기반의 배양 공정 최적화를 다루며 토론했다.

이외에도 디지털헬스산업, 그 현재와 미래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세중 교수가 좌장을 맡아, 디지털 헬스케어와 함께 하는 전자약, 웨어러블 ECG 모니터링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뮬레이션 기반의 메디컬 트윈을 토대로한 토론도 진행됐고, 또한 신약개발 혁신 플랫폼 기술 세션에서는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지영미 연구소장이 좌장을 맡아, 플랫폼 바이오 시대, Introduction of IPK’s future technology, 암과 노화를 되돌릴 수 있을까?를 주제로 토론을, 디지털헬스 이노베이션Ⅱ에서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최혁 교수가 좌장을 맡아,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의료기기에 대한 리뷰, Effor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Computer-Aided Maxillo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보형물을 활용한 턱얼굴재건을 진행하며 행사는 마무리됐다.

차상훈 이사장은 “국내·외 신약개발과 의료기기 분야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최신 연구동향 및 산업 이슈를 파악하고 미래 전략을 공유하며 디지털 시대, 헬스케어와 바이오산업의 미래에 대해 논의할 수 있어 뜻깊은 자리였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