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가 2027년 6조원대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유통·제약업계에서도 관련 사업 진출이 활발하다. NS홈쇼핑은 반려동물 상품을 강화키로 했으며 GC녹십자랩셀, 지엔티파마, 경보제약 등도 반려동물 건강관리사업에 나설 정도로 국내 펫시장이 급증세다.
이 와중에 반려동물 헬스케어 플랫폼 ‘알파도펫’ 서비스를 운영중인 알파도(ALPADO, 대표 지영호)가 국내 반려동물 헬스케어 업계 최초로 가정에서도 손쉽게 반려동물 AI헬스케어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파도펫 플러스(+)’ 서비스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알파도 지영호 대표는 “알파도펫은 말 못하는 반려동물의 이미지 데이터로 대화가 가능한 AI알고리즘을 적용했다. 매월 정기적으로 알파도펫 앱 AI엔진에 기록된 개별 이미지 데이터는 반려동물의 행동심리상태를 이미지로 자동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질병에 대한 진단과 예측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대표는 “‘알파도펫 플러스(+)’ 서비스는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면서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질병관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수의사 주치의를 롤모델로 한 모바일 앱(App)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AI 헬스케어 토탈 홈케어 서비스”로 제공된다”고 밝혔다.
알파도펫 플러스는 반려동물의 눈, 치아의 상태를 촬영하여 증상 확인을 도움주기 위한 ‘의료영상진단 검출 보조 소프트웨어’로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동물용 의료기기 제조품목 허가 및 동물용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한 바 있다.
알파도펫 서비스에 가입하면 반려동물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AI펫바디와 소변자가검사키트가 제공된다. 측정한 수치는 자동으로 앱(Aapp)에 업로드된다. 알파도펫의 데이터 분석 엔진을 거쳐 앱을 통해 집에서도 간편하게 사용자들은 반려동물 AI헬스케어 솔루션과 적절한 건강관리 조언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특히 반려동물 일지는 국내 반려동물 보호자들의 니즈를 적극 반영한 서비스로, 반려동물의 생활습관, 식습관, 목욕상태, 병원진료, 복용약, 예방접종, 산책경로, 질환별 해당 병원, 질병사전 등 다양한 정보가 수록되어 질병예방과 건강관리를 체계적으로 데이터 분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알파도 측에 따르면 “알파도펫 반려동물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29.1%의 의료비용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알파도펫의 AI펫바디 솔루션을 1년동안 활용한 멤버는 비만도가 개선되고, 눈과 귀를 정기적으로 검사해주어 질병을 예방효과로 의료비도 줄이고 분노 스트레스 지수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알파도펫 +(플러스)앱은 하반기에 헬스케어 반려동물 3D캐릭터를 통해 게임도 선보인다. 양치질, 산책, 사료영양분구성, 목욕, 귀세정, 소변자가검사, 펫바디자가검사 등으로 매일 게임을 즐기면 펫 건강관리는 물론 포인트 리워드 혜택을 제공하는 알파도펫 게임을 운영 예정이다.
알파도 지영호 대표는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와 질병예방을 위해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AI로 모니터링을 해주는 알파도펫 디지털 반려동물 헬스케어 서비스는 업계 최초다. 현재 미국, 독일 등 해외 투자자로부터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