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노피社 및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는 양사가 보유한 혁신적인 기술을 이용해 현재의 판데믹 상황에 대응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취지에서 ‘코로나19’ 항원보강 백신의 개발을 공동으로 진행하는 내용의 협약서를 체결했다고 14일 공표했다.
이에 따라 사노피 측은 재조합 DNA 기술에 기반을 둔 자사의 S-단백질 ‘코로나19’ 항원으로 백신 개발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표면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들과 유전적으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을 생산하는 것이 이 기술의 골자이다.
그리고 이 S-단백질 ‘코로나19’ 항원에 암호화된 DNA 배열은 바큘로바이러스(baculovirus)의 DNA 발현 플랫폼과 결합되는데, 이것은 사노피 측이 미국에서 승인받은 재조합 인플루엔자 치료제의 근간을 이루는 부분이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측의 경우 검증된 자사의 판데믹 항원보강 기술을 적용해 사노피와 협력을 진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항원보강을 이용하는 것은 판데믹 상황에서 각별히 중요한 의미를 내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도스분당 필요로 하는 백신 단백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더 많은 도스분의 백신이 생산되어 더 많은 사람들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
사노피社의 폴 허드슨 회장은 “전 세계가 이처럼 전례없는 글로벌 보건 위기에 직면해 있는 현실에서 혼자의 힘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기업은 없다고 단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것이 바로 사노피가 코로나바이러스를 차단하는 데 도움을 줄 다량의 백신을 제조하고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에 따라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같은 동종기업들에게 우리가 보유한 전문지식과 자원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주고자 하는 사유”라고 강조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의 엠마 웜슬리 회장은 “양사의 제휴가 세계 최대의 두 백신기업들이 힘을 합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라며 “우리가 보유한 과학과 기술을 결합시켜 최대한 많은 수의 사람들을 ‘코로나19’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백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가속페달을 밟을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라 믿는다”고 단언했다.
이와 관련, 단백질 기반 항원을 항원보강제와 결합시키는 기술은 안정적으로 확립된 데다 오늘날 사용 중인 다수의 백신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항원보강제는 일부 백신 제품들에 첨가되어 면역반응을 향상시키는 데 적용되고 있다. 더욱이 항원보강제가 첨가된 백신은 항원보강제가 첨가되지 않은 백신에 비해 각종 감염성 질환들에 대응하는 면역력을 한층 강력하고 장기간 동안 나타낼 수 있도록 해 준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왔다.
효과적인 백신을 대규모로 생산하고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가능성 또한 항원보강제 덕분에 배가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양사는 올해 하반기 중으로 임상 1상 시험에 착수하고,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2021년 하반기까지는 개발을 완료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사노피 측이 앞서 공표했던 대로 재조합 기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개발은 미국 보건부 산하 질병예방대응본부(ASPR) 직속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의 개발비용 지원 및 협력을 등에 업고 진행되고 있다.
양사는 글로벌 마켓 접근성 확보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프랑스‧영국 정부 및 글로벌 기관들과 비용지원 부분을 협의한다는 계획이다.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의 릭 A. 브라이트 국장은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이 빠른 시일 내에 생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백신업계 선도기업들의 전략적인 연대가 필수적”이라고 밝힌 뒤 “항원보강 재조합 기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개발은 현재의 판데믹 상황이 종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수의 사람들에게 백신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1회 접종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전 세계가 미래의 코로나바이러스 창궐에 보다 빈틈없이 대비하거나 아예 예방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사는 공동협력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 태스크포스는 사노피社의 다비드 뢰브 글로벌 백신 부문 대표와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 백신 부문의 로저 코너 대표가 공동으로 총괄하게 된다.
태스크포스는 양사의 자원을 동원해 백신 후보물질의 개발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하게 된다.
현재의 판데믹 상황이 인도적으로나 금전적으로나 보기 드문 도전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양사는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접근성 확보가 최우선의 현안이라고 보고, 양사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백신이 공공 부문과 세계 각국 환자들에게 공정한 접근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한편 양사의 제휴는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도움을 주기 위해 사노피 및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측이 진행 중인 노력에서 중요한 성과물이라는 평가이다.
양사는 물질이전계약(Material Transfer Agreement)을 맺고 즉각적인 협력이 착수될 수 있도록 했다.
제휴계약의 구체적인 내용들은 차후 수 주 이내에 최종적으로 확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01 | 오스코텍,차세대 항암신약 'OCT-598' 임상1... |
02 | 고령층 폐렴, 중등도 이상 65%…심평원 "진료... |
03 | CJ올리브영, 북미 최대 뷰티 박람회 '코스모... |
04 | 딥큐어, 복강경 RDN '하이퍼큐어' 심방세동... |
05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국가독성과학... |
06 | 에이치이엠파마, 세종공장 준공…“글로벌 헬... |
07 | SK바사-사노피 공동개발 폐렴구균 단백접합 ... |
08 | 경동제약,제제 기술력 기반 제네릭 개발 강... |
09 | 삼성바이오에피스, 미국 해로우와 안과질환 ... |
10 | 여름 휴가 때 챙겨야 할 필수 상비약은? |